박근혜, 개헌론에 침묵하는 이유

박근혜, 개헌론에 침묵하는 이유

입력 2010-10-31 00:00
업데이트 2010-10-31 10: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가 정치권의 화두인 개헌론에서 대해 침묵을 지키고 있어 배경에 궁금증이 일고 있다.

 여권에서는 이재오 특임장관을 필두로 한나라당 안상수 대표,김무성 원내대표,오세훈 서울시장까지 개헌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반면 민주당 손학규 대표는 “개헌은 차기 정권의 몫”이라며 반대하는 등 연일 개헌이 언급되고 있다.

 내달 G20(주요20개국) 서울 정상회의가 끝나는 대로 개헌이 정치권에서 공론화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그러나 차기 대권주자 중 부동의 1위인 박 전 대표는 이 문제에 일절 언급이 없는 상태다.한나라당 친박(친박근혜)계도 극도로 말을 아낀다.

 박 전 대표가 친박 의원들에게 “개헌 문제에는 앞으로 대응하지 말자”는 취지의 언급을 한 게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올 정도이다.

 친박 인사들은 박 전 대표의 침묵이 ‘개헌 필요성은 인정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니다’라는 판단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시급한 현안은 민생 문제이지 개헌이나 권력구조개편이 아니라는 얘기다.

 한 친박 의원은 31일 “경제와 민생 문제로 숨이 턱에 차는 판국에 개헌은 국민의 공감대를 전혀 얻지 못하는 사안”이라고 냉담한 반응을 보였다.

 더구나 개헌론이 시대변화와 국민의 변화된 요구를 담는게 아니라 권력구조개편에 집중될수록,이는 ‘정략’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라는게 친박계의 판단이다.

 박 전 대표는 또 대통령 4년 중임제를 지지한다는 자신의 입장을 이미 밝힌만큼 굳이 이를 다시 반복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을 했을 수도 있다.

 더욱이 박 전 대표가 어떤 식으로든 언급했을 경우 정치권이 ‘블랙홀’로 빨려 들어갈게 뻔하다는 점에서 스스로 침묵을 택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연내 개헌특위 구성.내년 상반기 개헌 완성’이라는 개헌론자들의 시간표가 내년초부터 대권행보를 본격화하려는 박 전 대표의 정치일정과 충돌하는 측면도 있다.

 설령 박 전 대표의 선호대로 대통령 4년 중임제나 총선-대선시기를 맞추는 정도의 제한적인 개헌이 추진된다 하더라도 막상 논의가 시작되면 진로를 가늠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박 전 대표가 스스로 ‘판이 흔들리는 상황’과 거리를 두려 하는게 아니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