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반 총장 생체정보까지 첩보 명령”

“美, 반 총장 생체정보까지 첩보 명령”

입력 2010-11-29 00:00
업데이트 2010-11-29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 정부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관련한 정보 수집도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미지 확대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연합뉴스
반기문 유엔사무총장
연합뉴스
 영국 일간 가디언은 28일 폭로전문 사이트 위키리크스가 공개한 미국 외교전문 25만여건 가운데 반 총장의 조직 운영과 의사결정 스타일,유엔 사무국에서 영향력,심지어 생체 정보까지 수집하라는 지시가 포함됐다고 전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힐러리 클린턴 미 국무장관은 지난해 7월 ‘비밀 지령’을 통해 유엔 최고위층 인사들이 공무 수행을 위해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비밀번호와 암호화 키 등 통신 정보를 수집하라고 자국 외교관들에게 지시했다.

 첩보 대상에는 반 총장뿐 아니라 그의 측근,사무차장,마거릿 찬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을 비롯한 기구 대표와 고문,평화유지 활동 책임자,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 대표 등이 망라됐다.

 미 국무부가 요구한 정보는 신용카드 번호,이메일 주소,전화와 팩스,무선호출기,항공 마일리지 계좌 번호 등이며 콩고민주공화국과 우간다,르완다,부룬디 주재 외교관들에게 보낸 명령에서는 고위 인사들의 DNA와 지문,홍채 인식 정보도 모으라고 지시했다.

 미 정부는 아울러 유엔 구호기구와 테러 조직의 관계,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관타나모 기지 수감자에 대한 미국의 처우를 조사하는 유엔 특별보고관의 계획,유엔 인도주의 기구 간 갈등과 부패 등을 알아내려 했다.

 가디언은 미 정부가 해당 지령을 뉴욕과 제네바,로마의 유엔 주재 자국 사무소와 런던과 파리,모스크바를 포함한 33개 지역 대사관 및 영사관에 하달했다면서 미 중앙정보국(CIA),연방수사국(FBI),국토안보부 비밀경호국(USSS) 등 기관이 정보 수집과 보고 활동에 동참했다고 설명했다.

 가디언은 또 미국 측의 지시가 국제법상 합법적인지,미 외교관들이 실제 첩보 활동을 펼쳤는지 논란이 일 전망이라며 미국이 유엔 고위 인사들의 통신 관련 정보를 바탕으로 감시와 해킹을 시도하려 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미 정부는 나아가 2008년 이후 최소 9개 대사관에 보낸 명령을 통해 지하자원이 풍부한 아프리카 ‘대호수’ 지역의 군부 인물 정보와 군 동향,팔레스타인 자치정부와 하마스 인사들의 동선과 이동수단 등의 정보도 관련국 주재 외교관들에게 요구했다.

 특히 중앙 아프리카의 미 대사관 직원들은 현지 국가가 중국과 북한,리비아,이란,러시아와 어떤 군사 관계를 맺고 있는지 파악하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미 정부는 우라늄과 같은 ‘전략 물질’ 이전과 각국의 무기 구입 내역 등에 정보 우선순위를 뒀다고 가디언은 전했다.

 가디언은 이들 명령에는 미국의 전,현직 국무장관인 콘돌리자 라이스와 클린턴의 서명이 있었다면서 이 문건을 통해 미국이 동맹국과 적대국의 민감 정보를 수집하고자 1만1천500명의 외교 인력을 어떻게 이용했는지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