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책행보, 대권 구도에 미칠 영향은

박근혜 정책행보, 대권 구도에 미칠 영향은

입력 2010-12-28 00:00
업데이트 2010-12-28 14: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권의 유력한 차기 대권주자인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의 ‘정책행보’가 속도를 더하면서 차기 대권 구도에 미칠 영향이 주목된다.

 당내 일각에선 박 전 대표가 싱크탱크격인 국가미래연구원를 출범시키는 등 대선 지형의 ‘선점’에 나서자 대권을 향한 흐름이 가파르게 진행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는 것.

 여권 잠룡들은 박 전 대표의 향배를 예의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친이(친이명박)계 의원은 28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한 후보가 나서면 다른 대선후보도 같이 움직이지 않겠는가”라고 내다봤고,다른 의원은 “2012년 총선 이전에 대권주자의 움직임이 본격화되면 공천에 미칠 영향을 저울질 하는 의원들이 나올 수 밖에 없다”며 “이는 자칫 잘못되면 내부 분열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친이계는 박 전 대표의 행보에 대해 일단 유보적 자세를 취하고 있다.

 박 전 대표의 의중이 명확치 않은 상황에서 섣불리 움직이다가는 득보다 실이 많을 수 있는 데다,아직 계파내 대표주자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에서 대선 흐름만 가속화 시킬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실제 친이계 핵심 의원은 “조기 대선전으로 레임덕의 모양새가 와서는 안된다”며 “일일이 대응할 경우 대선 기류가 더 급속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대권주자군인 김문수 경기도지사측 의원은 “김 지사는 김 지사 식으로 한다”며 “중요한 것은 후보의 내공”이라고 선을 그었다.오세훈 서울시장측도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야권 후보들도 비슷한 입장으로,손학규 민주당 대표측은 “민주당이 수권정당으로서 비전을 제시해야지 대권을 위해 지지기반을 넓히거나 대권 행보를 하는 것은 당에도,본인에게도 도움이 안된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전 대표는 새해부터 분야별 정책구상을 가다듬어 공개할 것은 공개키로 하는 등 정책 행보를 이어간다는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15개 정책 분과를 망라한 국가미래연구원이 출범한 이상 ‘정책 생산’이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앞으로 복지 분야에 이어 과학기술,재정,교육 분야 정책들이 차례차례 선보일 가능성이 높다는 게 박 전대표측 전언이다.

 그러나 박 전 대표가 당장 급격한 대선 행보에 들어갈 것 같지는 않다.‘미래 권력’의 조기 등장이 가질 수 밖에 없는 불리한 환경을 자초하지 않겠다는 것이 확고한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박 전 대표는 연구원을 최대한 활용,정책 전문가로서의 이미지 확대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측근들은 “박 전 대표가 특정한 한가지 주의(主義)에 사로잡혀 있지 않다”,“국가적 문제의 해결에 어떤 방식이 가장 좋은지를 고민하고 있다”,“반대 의견도 많이 청취하는 편”이라고 전했다.

 이는 박 전 대표가 열린 마음으로 정책에 임하고 있다는 의미다.국가미래연구원 회원 중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을 지냈던 윤병세 김&장 고문,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을 역임한 이경태 국제무역연구원장 등이 참여한 것도 ‘정책 편가르기’를 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