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연대, 4월 총선 ‘야풍’ 기폭제 될까

야권연대, 4월 총선 ‘야풍’ 기폭제 될까

입력 2012-03-10 00:00
업데이트 2012-03-10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의 야권연대 협상이 타결돼 4ㆍ11 총선에서 ‘야풍(野風)’의 촉매제로 작용할 지 주목된다.

무엇보다 야권연대는 야권 단일후보에 대한 기대감을 높여 새누리당 후보와의 접전이 예상되는 지역에서 선전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특히 민주당은 수도권 및 부산ㆍ경남의 ‘낙동강 벨트’에서 상승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수도권은 상당수 지역에서 새누리당과 치열한 접전을 펼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수도권과 더불어 이번 총선 관전포인트인 ‘낙동강 벨트’에서도 후보들에게 힘을 보탤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 핵심관계자는 “초접전 지역이 수도권에서 충청권 등으로 넓어지는 상황에서 야권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MB 및 새누리당 심판연대가 탄생한 셈으로 특정 정당을 지지하지 않는 무당파층을 끌어들이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민주당은 야권연대를 통해 최근 공천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지지율이 급전직하하는 양상을 타개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것으로 내심 기대하고 있다.

민주당의 공천이 거의 마무리된 상황에서 야권연대는 민주당에 비판적 정서로 돌아선 지지층을 되돌리고 외연을 확대할 수 있는 카드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 윤희웅 조사분석실장은 “진보색채가 뚜렷한 유권자들이 민주당에 대해 상당한 비판적 시각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를 완화할 계기가 될 것”이라며 “지방선거만큼의 위력을 보일지 모르겠지만, 상당히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통합진보당도 자체적으로 당선권에 있는 후보가 몇 안 되는 상황에서 야권연대를 통해 20석 이상의 원내교섭단체 구성 전략에 힘을 받게 됐다.

야권연대의 효과는 2010년 6ㆍ2 지방선거와 지난해 10ㆍ26 서울시장 재보선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6ㆍ2 지방선거에서는 경기도지사, 인천시장, 부산시장, 경남도지사 등 광역 단체장을 중심으로 한 야권 후보단일화를 통해 상당수 지역에서 야권이 승리하는 기염을 통했다.

10ㆍ26 서울시장 재보선에서도 당시 야권 단일후보인 박원순 후보가 새누리당 나경원 후보를 꺾어 기세를 올렸다.

그러나 민주당은 전략지역 선정으로 공천이 무효화될 후보자들의 반발 등 후유증에 시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야권 단일후보의 당선 가능성뿐만 아니라 해당 지역 후보의 반발 가능성도 상당히 염두에 두고 협상을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합진보당도 140명에 가까운 후보자들을 주저앉혀야 하기 때문에 이 과정에서 상당한 잡음이 예상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