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 텃밭 강남벨트 공천 혼선 ‘악재’

새누리 텃밭 강남벨트 공천 혼선 ‘악재’

입력 2012-03-14 00:00
업데이트 2012-03-14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이 ‘강남벨트’ 공천을 놓고 극심한 혼돈에 빠졌다.

강남벨트가 민심의 척도인 수도권 한복판에 위치한 데다, 새누리당의 전통적 강세 지역이라는 점에서 통상 이곳 후보는 새누리당의 간판 인물이자 공천의 방향을 상징해왔다.

하지만 공직후보자추천위가 지난 9일 전략 공천을 확정한 서울 강남갑의 박상일 후보와 강남을의 이영조 후보를 놓고 ‘역사관 논란’이 불거지면서 새누리당 쇄신 공천의 빛이 바래고 있다.

이영조 후보는 자신의 논문에서 5ㆍ18 광주민주화운동과 제주 4ㆍ3사건을 각각 ‘popular revolt’, ‘communist-led rebellion’ 등으로 규정한 점이, 박상일 후보는 지난해 8월 펴낸 서적에서 독립군을 ‘소규모 테러단체 수준’이라고 표현한 점 등이 각각 도마 위에 오른 상태다.

당장 이들 후보에 대한 유관 단체의 항의가 잇따르고 있고, 야권에도 공세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다. 이대로라면 강남 텃밭에서 새누리당의 승리를 장담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수도권의 한 재선 의원은 14열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지난해 4ㆍ27 재보선 당시 성남 분당을을 내준 점에서 알 수 있듯 강남벨트는 새누리당의 깃발만 꽂으면 당선되는 곳이 결코 아니다”고 강조했다.

강남권 후보들이 새누리당이 지향하는 국가발전의 방향, 정책ㆍ정치 비전을 함축한 인물로 채워져 왔다는 점에서 이곳의 ‘부적절한 공천’은 새누리당 전체 공천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도 연결될 수 있다.

동시에 새누리당이 ‘인물론’으로 강남 승리를 담보해 왔지만, 이번에는 강남발(發) 이념논쟁의 불씨가 지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쇄신파 의원들은 지난 10일 밤 회동에서 이영조ㆍ박상일 후보의 역사인식에 대해 우려를 표시하면서 “새누리당 후보로 적절치 않다”는 의견을 비상대책위에 전달했고, 상당수 비대위원은 이들 후보의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나서는 등 사태 수습에 나섰다.

문제는 이들 후보 문제를 놓고 비대위와 공직후보자추천위가 충돌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당장 이영조 후보는 “사퇴의사는 없다”고 밝혔고, 공천위도 자신들이 꺼내든 ‘카드’를 거둬들이는 게 쉽지 않기 때문이다.

비대위가 이들 후보에 대해 ‘비토권’을 행사해 공천위의 재의를 요구하고, 공천위가 3분의 2 이상의 찬성으로 이들의 공천을 재의결한다면 논란은 걷잡을 수 없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에서 다른 강남벨트 지역인 서초갑ㆍ서초을 공천을 놓고도 새누리당의 고심은 깊어지고 있다. 전략지역으로 선정된 이곳의 공천이 미뤄지면서 공천위가 ‘강남벨트 공천 원칙이 없는 것 아니냐’는 비판도 나온다.

극심한 인물란의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라는 목소리도 있다.

또한 비대위의 요구처럼 이영조ㆍ박상일 후보가 어떤 형태로든 사퇴할 경우 강남벨트 공천 문제는 새 판에서 다뤄지며 공천 자체가 지연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강남벨트에 속한 송파을의 유일호 의원이 공천을 받은 만큼 이혜훈(서초갑)ㆍ고승덕(서초을) 의원의 재공천 가능성도 열려있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이들 의원은 재공천을 희망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