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이후] 발효 첫날… 취약한 中企 챙기기

[한·미 FTA 발효 이후] 발효 첫날… 취약한 中企 챙기기

입력 2012-03-16 00:00
업데이트 2012-03-16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MB, FTA무역종합지원센터 방문

이명박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 발효된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협회 FTA무역종합지원센터를 방문, 중소 수출기업인들을 만났다. 협정 발효에 따른 업계의 준비 상황과 정부의 지원책을 점검하기 위한 차원에서다. 이 자리에는 자동차 부품, 섬유 업계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미지 확대
이명박(앞줄 오른쪽 세번째) 대통령이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종합지원센터를 찾아 직원들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따른 대책을 논의한 뒤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이명박(앞줄 오른쪽 세번째) 대통령이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무역종합지원센터를 찾아 직원들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에 따른 대책을 논의한 뒤 파이팅을 외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2·3차 협력업체 적극 지원해야”

이 대통령은 “한·미 FTA가 발효되니까 세계가 한국을 부러워한다.”면서 “세계 경제가 어렵지만 FTA에 잘 적응하면 매우 긍정적인 결과가 나올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FTA의 관건은 중소기업으로, 미국과의 FTA가 본격화되면 수출이 늘어날 것”이라면서 “미국, 유럽연합(EU)과 모두 FTA를 맺어 한국에 대한 신뢰도가 올라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어 “문제는 2, 3차 협력업체들은 쉽지 않다는 점”이라며 “지식경제부는 이들 기업이 한·미 FTA에 빨리 적응해 미국 기업들보다 먼저 혜택을 볼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라.”고 당부했다. 이 대통령은 FTA 시대의 취약 업종으로 농·수·축산, 중소기업을 꼽은 뒤 “이들 분야에 대해서는 피해를 보상하는 차원이 아니라 이 기회에 경쟁력을 갖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유통구조 개선 지속적으로 살펴야”

이 대통령은 유통 과정에서의 문제로 수입품 가격이 내려가지 않아 국내 소비자들이 FTA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한 경계심도 나타냈다.

이 대통령은 “지경부는 수입품 가격을 잘 봐야 한다.”면서 “한국, 일본이 칠레에서 와인을 수입하는데 FTA를 맺은 우리나라가 더 비쌌다. 문제는 유통구조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입하는 사람을 제한하는 것은 특혜”라며 “국민에게 혜택이 돌아가도록 유통과정도 철저히 살피고 미리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김성수기자 sskim@seoul.co.kr

2012-03-16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