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 대선 첫고비…‘文-安파고’ 넘을 비책은

朴 대선 첫고비…‘文-安파고’ 넘을 비책은

입력 2012-09-16 00:00
업데이트 2012-09-16 16: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이번 주 대선 국면의 첫 번째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

민주통합당이 16일 문재인 대선후보를 선출한데 이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도 금주 중 출마 선언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지난 주 ‘인혁당 발언’ 논란으로 일부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40% 밑으로 떨어진 박 후보로서는 이번 주 ‘문재인-안철수’ 파도가 동시에 몰아칠 경우 지지율이 더 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추석 연휴를 앞두고 있어 추석 민심의 향배를 가를 수 있는 중대 시기라는 게 대체적 관측이다. 이에 따라 박 후보는 ‘문재인-안철수 파도’를 넘어설 비책을 마련하는데 골몰할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측에 따르면 박 후보의 승부수는 국민 피부에 와 닿는 경제민주화 정책의 각론 제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각론은 ▲재벌개혁 ▲청년 일자리 ▲서민주택 정책 등이 핵심 내용을 이룰 것으로 알려졌다.

재벌개혁의 경우 시장에서 재벌의 독식을 막겠다는 의지를 박 후보가 강하게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박 후보가 지난 7월 출마 당시와 이후 기자간담회 등에서 언급한 신규 순환출자 금지나 금산분리 강화 방안이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또 대기업이 빵집이나 떡볶이 등 소상공인 업종까지 침투하는 데 대한 국민의 부정적 정서를 감안, 대기업의 골목상권 진출 제한 구상도 공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청년 일자리 문제는 ‘일자리 00만개 창출’과 같은 구호를 벗어나 시스템 차원에서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으로 ‘스마튜 뉴딜’ 공약을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박 후보는 최근 언론인터뷰에서 “스마트는 정보기술(IT), 뉴딜은 내수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창출의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선 등 기존 제조업이나 농업이 사양산업이고 외국에 경쟁력이 떨어진다고 생각하지만 과학기술과 융합되면 부가가치가 높아져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는 개념에 따른 것이다.

서민 주택정책의 경우, ‘하우스 푸어’(집은 있지만 무리한 대출로 실질소득이 줄어 생활고에 허덕이는 가구)에 대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주택을 정부와 집주인이 공동 보유하는 방안을 박 후보가 직접 공약으로 발표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통해 가계부채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점을 내세울 전망이다.

정치쇄신도 여론의 관심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하는 대목이다. 정치쇄신특위는 ‘제왕적 대통령제’의 인사권 집중 폐해를 차단하기 위해 각 부처 장관들에게 산하기관장 인사권을 분산하는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 등 사정기관을 대대적으로 개혁하는 방안도 정치쇄신의 주요 부문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박 후보가 출마 당시부터 강조해온 부분이라는 점에서 정치쇄신 방안은 직접 발표하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온다.

이와 함께 지방을 돌며 서민들과의 ‘스킨십’ 기회를 자주 가지면서도 금주 중반께 5ㆍ16이나 유신 등 과거사 문제 등에 대해 자연스럽고도 차분하게 설명하는 자리가 마련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인혁당 발언’ 논란으로 홍역을 치른 박 후보가 이 자리에서 “역사의 평가에 맡긴다”는 기존 입장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인식의 변화를 보일 지가 지대한 관심의 대상이 될 전망이다.

여론조사기관 리얼미터의 이택수 대표는 “지지율이 빠진 상태로 추석을 지나게 되면 지지율 하락 현상이 증폭될 수 있는 만큼 박 후보가 이번 주 전향적인 과거사 인식이나 국민에게 어필할 정책 등을 발표할 필요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