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安 단일화, 공동정부론이 고리될까

文-安 단일화, 공동정부론이 고리될까

입력 2012-10-10 00:00
업데이트 2012-10-10 17: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통령-총리 분담론도 거론..文측 적극적, 安측 “검토한 바 없어”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후보단일화를 이룬다면 공동정부론이 고리가 되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공동정부론 구상에 적극적인 쪽은 문 후보다. 문 후보는 지난 5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안 후보와) 함께 연합 공동정부를 구성하는 수준까지 가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문 후보 측 핵심관계자는 10일 “새누리당의 정권재창출에 반대하고 정권교체를 위해 모인다면 당연히 공동정부가 돼야 하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다만 공동정부 구상이 자리 나눠먹기라는 구태로 비치지 않으려면 1997년 ‘김대중-김종필(DJP) 연대’가 지역연대, 2002년 ‘노무현-정몽준 연대’가 인물연대에 각각 그친 것을 넘어서서 정책과 비전을 기반으로 한 가치연대가 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담판이냐, 경선이냐 하는 단일화 방식도 중요하지만 내용적으로 집권 이후 펼쳐나갈 국정운영에 대한 ‘정책연합’을 먼저 이뤄내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보고 있다.

문 후보가 후보 수락연설에서 총리의 내각 추천권 보장과 권한 강화를 골자로 한 ‘책임총리제’를 거론한 것 역시 안 후보와의 단일화를 염두에 둔 것이라는 해석을 낳고 있다.

그러나 안 후보 측은 단일화 논의를 시작할지 말지조차 정해지지 않은 상황에서 문 후보가 제시한 공동정부론을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캠프 핵심 관계자는 “공동정부론을 검토하거나 논의한 바 없고, 지금은 새로운 정치변화를 만들어가는데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답할 것이 없다”고 말했다.

박선숙 캠프 공동선대본부장도 이날 언론브리핑에서 문 후보의 책임총리제에 대해 “다른 후보의 생각에 대해서는 평가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을 아꼈다.

이런 기류는 공동정부론이나 책임총리제가 민주당 중심의 후보단일화 프레임이어서 대응에 나설 경우 자칫 민주당의 전략에 말릴 수 있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관측이다.

안 후보 측 핵심관계자는 “공동정부론은 정치공학적인 얘기인데 단순히 합친다고 선거에 이기는 것이 아니라 민의에 접근해야 이길 수 있다”며 “우리는 문 후보 측과 같은 방식으로 사고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