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관계장관ㆍ수석비서관회의서 ‘연장 거부’ 결론
청와대가 12일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 터 매입 의혹을 수사 중인 이광범 특검팀의 수사기간 연장 요구를 거부한 것은 이미 예견됐던 수순이다.청와대는 이날 오후 4시부터 1시간 30분가량 하금열 대통령실장 주재로 권재진 법무부 장관, 이재원 법제처장, 이달곤 정무ㆍ최금락 홍보수석, 장다사로 총무기획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론을 내렸다.
하 실장은 회의 직후 이 대통령에게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신청을 받아들이지 않기로 했다’는 내용을 보고받고 이를 재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대통령은 이를 재가하면서 특별한 언급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오늘 아침부터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요구에 대해 조기에 결론을 내리자는 공감대가 있었다”면서 “특검도 수사를 마무리해야 하는 만큼 오늘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이날 회의에서는 특검수사의 ‘정치 편향성’과 수사 연장을 할 경우 국정운영 부담에 대한 우려가 적지 않았다는 후문이다.
최금락 홍보수석이 긴급 브리핑에서 “이번 특검은 특정 정당에 의해 특검이 추천되고, 대선을 목전에 둔 시점에 수사가 이뤄져 ‘정치특검’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재의요구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고 밝힌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최 수석은 특검의 수사기간 연장 거부 이유로 ▲필요한 수사가 충분히 이뤄진 데다 ▲청와대는 특검 수사에 최대한 성실하게 협조했고 ▲수사가 길어질 경우 임기 말 국정운영 차질이 우려된다는 점 등을 꼽았다.
그는 “수사기간이 연장되면 수사결과 발표가 대통령 선거기간 중에 이뤄지게 돼 발표내용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빚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엄정한 선거관리와 국민의 선택에도 악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청와대는 또 특검팀이 이날 ‘제3의 장소’인 금융감독원 연수원에서 청와대 경호처에 대한 압수수색을 시도했으나 청와대 측이 이를 거부한 데 대해서도 “서로 간 충분한 협의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특검팀도 저간의 사정을 알고 있었을 것이며, 정해진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권익환 민정2비서관도 브리핑에서 “압수수색 영장을 제시받고 영장에 기재된 자료를 이미 제출했다”면서 “부득이 제출이 곤란한 자료에 대해서는 그 사유를 충분히 설명했다”고 강조했다.
특검팀의 압수수색 거부는 하금열 대통령실장 명의로 했으며, 서면으로 이유를 기재해 특검팀에 전달했다는 게 청와대 측의 설명이다.
권 비서관은 “제출하지 않은 자료를 놓고 서로 판단이 다를 수 있으나 청와대는 충분히 제출했고, 제출이 곤란한 부분에 대해서는 충분히 사유를 말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편, 특검팀이 청와대 측과 제3의 장소로 조율된 서울 종로구 통의동 금융감독원 연수원은 이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 집무실과 비서실로 사용했던 곳이어서 눈길을 모았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