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정몽준, 이번에는 ‘인지도’ 놓고 신경전

김황식-정몽준, 이번에는 ‘인지도’ 놓고 신경전

입력 2014-03-20 00:00
업데이트 2014-03-20 16: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황식 전 국무총리(왼쪽)과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김황식 전 국무총리(왼쪽)과 정몽준 새누리당 의원. 20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23차 국민보고대회에서 서울시장 경선에 출마한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총리가 지나가고있다.
국회사진기자단


’김황식 정몽준’ ‘김황식 지지율’ ‘정몽준 지지율’

새누리당 서울시장 후보 자리를 놓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가 이번엔 ‘인지도’를 놓고 설전을 벌이고 있다.

김황식 전 총리가 지난 19일 “정몽준 의원이 인지도가 높을 뿐, 저의 행정경험이나 능력을 (시민들이) 알게 되면 인지도도 올라갈 것이다. 곧 지지율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한 게 발단이 됐다.

이에 정몽준 의원은 날선 반응을 보였다. 하루 뒤인 20일 정몽준 의원은 기자들과 만나 “아무런 한 일이 없는 사람이 인지도가 어떻게 오르겠느냐”며 “김 후보가 정치를 좀 모르시는 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정몽준 의원은 또 “인지도는 노력의 결과로서 서울시민이 저를 알아보고 길거리서 반갑게 인사하는 것은 제가 서울시에서 한 일이 있다고 생각해서 그런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김황식 전 총리가 자신이 호남 출신이라고 밝힌 것에 대해서도 “새 정치라고 하면 지역감정을 해소하고 뛰어넘어야 한다”면서 “지역감정은 만국의 병인데 이를 이용하겠다는 것은 새 정치라고 볼 수 없다”고 비판했다.

그러자 김황식 전 총리 측은 곧바로 보도자료를 보내 “김황식 전 총리에 대한 서울시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지지율도 상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총리를 모두 아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에서는 초박빙 접전을 나타내고 있는데, 김황식 전 총리가 귀국 이후 시민들과 접촉면을 넓혀 가면서 지지율이 정몽준 의원을 따라잡고 있다는 것이다.

김황식 전 총리 측은 국민일보와 글로벌리서치가 지난 17일 1000명을 대상으로 3명(정몽준·김황식·이혜훈)의 새누리당 후보를 모두 아는 사람에 한해 후보적합도를 조사한 결과 정몽준 39.7%, 김황식 38.4%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같은 조사에서 인지도 여부와 상관없이 새누리당 후보 적합도를 질문했을 경우에는 정몽준 의원이 44.6%를 얻으며 30.9%의 김황식 전 총리를 크게 앞섰다.

김황식 전 총리 측은 “96%가 넘는 인지도를 보이고 있는 정몽준 후보에 비해 김황식 후보의 인지도는 아직 70%에 그치고 있다”며 “김황식 후보에 대한 국민과 서울시민들의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후보적합도나 야당 후보와의 경쟁력도 함께 올라가고 있는 추세”라고 밝혔다.

김황식 전 총리도 이날 오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출연해 “조만간에 인지도가 올라가면 당연히 지지율도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하고 또 자신한다”고 밝혔다.

새누리당이 20일 6·4지방선거 광역단체장 후보 공천 신청자 5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일괄 면접’에서도 정몽준 의원은 ‘박심(朴心·박근혜 대통령의 의중) 논란’, 상향식 공천 경선룰 등을 놓고도 신경전을 벌였다.

정몽준 의원과 김황식 전 국무총리, 이혜훈 최고위원 등 서울시장 후보 ‘3인방’에 대한 면접은 도시락 오찬을 겸해 80여 분간 진행됐다.

정몽준 의원은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을 만나 “8년 전에 당시 박근혜 당 대표가 저한테 전화해 서울시장 출마에 관심이 있느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면서 “제가 관심 있으면 한번 도와줄 것 같은 느낌을 받았는데 요즘은 ‘그때가 좋았던 때’라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또 간담회 직전에도 “서울은 대선에서 진 동네”라며 “박근혜 대통령이 그렇게 인기가 많았는데도 서울에서는 졌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피 터지게 경쟁하는 과정에서 무슨 사고가 날지 모르고, 그렇게 갈라지면 본선에서도 마음이 갈라진다”면서 “상향식 공천도 좋은데 그저 ‘상향식 공천 잘됐으니 끝’이라는 식이면 아주 무책임하다”며 경선룰도 비판했다.

반면 김황식 전 총리는 별다른 대응없이 ‘침묵 모드’를 취했다. 간담회에서도 아예 발언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김황식 전 총리는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에게 “나는 일절 발언하지 않았다”면서 “한마디도 안했다”고 거듭 밝혔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