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송수신기는 없어”
지난달 24일 경기도 파주에서 추락한 북한의 것으로 추정되는 무인기가 경기 북부와 서울 상공에서 193장의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확인됐다.지난달 24일 파주에 이어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해상사격이 있었던 31일 백령도에서도 정체가 확인되지 않은 무인항공기가 추락해 군과 정보당국이 북한의 무인정찰기일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정밀 감식 작업에 들어갔다. 사진은 지난달 24일 파주에 추락한 무인항공기(위쪽)와 지난달 31일 백령도에 추락한 무인 항공기.
국방부 제공
국방부 제공
김 대변인은 “무인기를 분석했는데 0.9㎓짜리 송수신장치가 있었으나 그것은 영상을 보내는 것이 아니고 무인기를 조정하거나 GPS를 받는데 활용되는 것”이라며 “카메라에서 사진을 찍더라도 그 영상을 보낼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또 파주 무인기에 장착된 일본제 카메라의 성능에 대해 “인터넷에서 살 수 있는 것으로 렌즈도 최초 살 때 기본사양이었다”고 전했다.
김 대변인은 파주 추락 무인기에 국내에는 없는 지문이 있다는 한 언론의 보도에 대해서는 “우리 국민의 지문이 아닌 것을 몇 개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밖에 그는 파주 추락 무인기가 북한 제품인 것을 확인하고도 일주일이나 군 당국이 쉬쉬했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겉으로 심증적으로 보는 것과 그것을 과학적으로 증명하는 것은 전혀 다르다”며 “정부가 국민에게 발표를 하면 그것은 국제적으로도 공인되는 수준의 내용을 발표해야 한다”고 해명했다.
김 대변인은 “북한의 소행이라고 명확하게 판정되면 당연히 이것은 영공침해이고 불법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에서 입장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와 관련, 그는 “우리 정부 차원, 또 국제적 차원에서 다양한 방안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기존에 북한이 갖고 있는 무인기는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레이더로) 다 잡을 수 있지만 (이번에 추락한) 소형 무인항공기는 찾을 수 있는 레이더가 없어 탐색하지 못한 것은 잘못된 것”이라며 “하지만 이것은 새로운 추세였고, 우리들이 이미 이런 데에 대해서 대비하고 있는 차에 발생한 일이다. 앞으로 더 보강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