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예회복 원했던 文… ‘조부 독립투사’ 명분 얻자 전격 결심

명예회복 원했던 文… ‘조부 독립투사’ 명분 얻자 전격 결심

입력 2014-06-25 00:00
업데이트 2014-06-25 04:1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문창극 총리 후보 사퇴 배경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는 ‘명예 회복’을 강하게 원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 같은 뜻은 청와대에 직간접 접촉을 통해 전달됐고, 청와대와 문 후보자는 그 시기와 방법을 조율했던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 역시 후보자의 불명예 퇴진만큼은 피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진다. 지난 21일 밤 중앙아시아 순방을 다녀온 뒤 ‘정치 부재’, ‘국정 공백’ 등의 비판이 빗발치는 가운데서도 사흘간 침묵을 유지한 이유였다고 한다. 24일 문 후보자의 사퇴 이후 민경욱 대변인을 통해 “앞으로는 청문회에서 소명의 기회를 줘 개인과 가족이 불명예와 고통 속에서 평생을 살아가지 않도록 했으면 한다”는 언급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가 2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실에서 사퇴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개 숙여 인사하고 있다.




여권과 사회 일각에서는 청문회 ‘강행’ 요구도 적지 않았지만, 그러기에는 치러야 할 정치적 부담이 너무 크다고 청와대와 여권은 판단했다. 박대출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문 후보자의 사퇴는 국민 여론을 되돌리기에는 한계 상황에 도달한 데 따른 불가항력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문 후보자 스스로도 “총리 후보로 지명받은 후 이 나라는 더욱 극심한 대립과 분열 속으로 빠져들어 갔다. 이러한 상황은 대통령께서 앞으로 국정 운영을 하시는 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이 됐다. 또 이 나라의 통합과 화합에 조금이라도 기여코자 하는 저의 뜻도 무의미하게 됐다”고 밝혔다.

결국 국가보훈처가 전날 문 후보자의 조부 문남규 선생이 독립유공자라는 사실을 확인해 준 것이 사퇴의 계기로 작용했다. 앞서 사회 원로들과 보수단체들이 그를 변호하고 나서기 시작하고, 당 일각에서 다시 청문회 개최를 요구하는 등 동정론과 함께 그에 대한 지지 분위기가 늘어난 것도 ‘명예 회복’에 큰 도움이 됐다. 이에 힘입어 문 후보자는 이날 전격 사퇴 회견을 자신에게 쏟아졌던 비난에 반론을 펴는 기회로 사용했다.

그는 우선 정치권에 불만을 드러냈다. “대통령께서 총리 후보를 지명했으면 국회는 법 절차에 따라 청문회를 개최할 의무가 있다. 국회가 스스로 만든 법을 깨면 이 나라는 누가 법을 지키겠느냐”고 주장했다. 그는 언론에 대해서도 “발언 몇 구절을 따내 그것만 보도하면 그것은 문자적인 사실보도일 뿐”이라며 “그것이 전체의 의미를 왜곡하고 훼손시킨다면 그것은 진실보도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신앙 문제에 대해서는 “개인은 신앙의 자유를 누리고 그것은 소중한 기본권인데, 평범했던 개인 시절 저의 신앙에 따라 말씀드린 것이 무슨 잘못이 되는가. 존경하는 김대중 전 대통령도 그의 ‘옥중서신’이라는 책에서 신앙을 고백하며 고난의 의미를 밝히셨다”면서 “저는 그렇게 신앙 고백을 하면 안 되고 김 전 대통령은 괜찮은 것이냐”고 반문했다. 그는 끝으로 “저를 이 자리에 불러주신 분도 그분이시고 저를 거두어 들일 수 있는 분도 그분”이라는 말로 사퇴의 변을 마무리했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14-06-25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