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근 자진사퇴…2기 내각 출범 차질

정성근 자진사퇴…2기 내각 출범 차질

입력 2014-07-16 00:00
업데이트 2014-07-16 17: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자질 논란을 빚은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지명 33일만인 16일 결국 자진사퇴했다.

이로써 야당이 지난 10일 청와대 회동에서 박근혜 대통령에게 지명철회를 요구했던 김명수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장관 후보자와 정 후보자 2명이 임명 직전 모두 낙마했다.

이미지 확대
사퇴한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사퇴한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후보자 사퇴 입장을 공식 표명했다. 정 후보자 측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저는 오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후보자 직을 사퇴한다”며 ”다 설명드리지 못하는 부분이 있습니다만 그냥 물러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역시 청문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는 이날 오전 임명안을 재가, 전날 임명한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을 포함한 6명의 장관(급)을 공식 임명했다.

정성근 후보자는 이날 보도자료에서 “저는 오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 직을 사퇴한다”며 “다 설명드리지 못하는 부분이 있지만 그냥 물러나는 것이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또 “그간 공직후보자로서 국민여러분께 희망을 드리지 못하고 마음을 어지럽혀드렸다. 용서를 빈다”라고 덧붙였다.

정 후보자는 국회 인사청문회 위증과 ‘폭탄주’ 논란에 휘말리며 국회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이 불발된 뒤 야당의 낙마 표적이 돼왔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전날 정 후보자에 대해서는 국회에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하며 임명 강행 의지를 보였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정 후보자에 대한 논란이 다소 과장된 측면이 있으며 일부가 소명됐다는 판단을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럼에도 정 후보자가 이날 돌연 사퇴한 것은 결국 잦아들지 않는 부정적 여론에 큰 부담을 느꼈기 때문으로 보인다.

특히 새누리당이 정국의 승부처인 7.30 재보선에 미칠 후폭풍을 우려해 정 후보자 임명 강행에 부정적인 당심과 민심을 청와대에 강하게 전한 것 등이 그의 낙마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이날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국민 대다수가 아니라면 안해야죠. 이렇게 인사를 하면 안 된다”며 박 대통령의 정 후보자 임명 강행 움직임을 비판했다.

또 야당이 정 후보자의 ‘개인 문제’와 관련한 추가 폭로에 나설 것이라는 소문도 정 후보자에게 부담을 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따라 박근혜 정부 2기 내각 출범은 출발부터 차질을 빚게 됐다.

동시에 총리 후보자 2명의 잇단 낙마와 김명수 후보자에 대한 지명철회에 이은 정 후보자의 자진사퇴로 청와대의 인사 실패에 대한 비판 여론도 다시 고조될 전망이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이 정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강행했을 경우 야기될 야당의 반발과 ‘오기 인사’ 논란 등에 따른 정국경색 상황은 일단 피할 수 있게됐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 후보자의 자진사퇴에 대해 새정치민주연합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자진사퇴라기보다는 국민 여론에 밀린 사퇴”라면서도 “국력낭비가 컸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정 후보자의 결단을 존중한다며 “2기 내각이 조속히 전열을 정비해 국가혁신과 경제활성화, 민생에 매진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