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권관계자 “日수산물 수입금지 해제 움직임”

여권관계자 “日수산물 수입금지 해제 움직임”

입력 2014-09-22 00:00
업데이트 2014-09-22 12: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상회담 등 한일관계개선 움직임 관련 주목

우리 정부가 일본 수산물에 대한 수입금지 조치를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는 주장이 여권 내에서 제기돼 주목된다.

여권의 핵심관계자는 22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부가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조치를 해제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정부는 지난해 9월부터 일본의 원전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주변 8개현에서 나온 수산물 수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가 실제로 해제되면 역사왜곡 문제 등으로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악화일로를 걸어온 한일 정상회담을 염두에 둔 포석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부처는 지난 15일 공동보도자료를 통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금지 조치와 관련, “민간 중심의 전문가위원회를 구성해 과학적 타당성을 검토할 것”이라고 밝힌 것도 이같은 맥락에서 눈길이 쏠리고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지난 19일 박근혜 대통령을 예방한 모리 요시로(森喜朗) 전 일본 총리를 통해 전달한 친서에서 “오는 가을에 개최되는 국제회의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만나길 기대한다”고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정식 제안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최근 한일 간 움직임을 보면 정상회담 흐름으로 가는 것으로 봐야 한다”면서 “연내 또는 내년 초에는 정상회담이 열릴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법과 관련, 이른바 이른바 ‘사사에(佐佐江)안’이 대안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사사에안’은 사사에 겐이치로(佐佐江賢一郞) 일본 외무성 사무차관이 2012년 3월 방한 때 제시한 뒤 추후 논의를 통해 구체화된 것으로 알려졌으며, 위안부 문제 해결 방안으로 ▲ 주한 일본대사의 사과 ▲ 인도적 조치를 위한 자금 지원 ▲ 피해자에 대한 일본 총리의 편지 등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