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사이버공격 의한 원전중단·위험초래 가능성없어”

靑 “사이버공격 의한 원전중단·위험초래 가능성없어”

입력 2014-12-25 21:06
업데이트 2014-12-25 2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관진 주재 긴급 사이버안보회의 소집, 상황점검·진단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25일 원전에 대한 사이버 공격 가능성에 대해 “원전 가동 중단이나 위험한 상황이 초래할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평가했다”고 밝혔다.

안보실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김관진 안보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와 국가정보원, 대검찰청,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10개 부처 차관(급) 10명이 참석한 가운데 ‘국가사이버안보위기 평가회의’를 긴급 소집해 관련 기관의 대비태세를 점검한 결과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안보실은 이어 “원전의 제어 시스템은 외부망과 물리적으로 분리돼 있어, 외부 해킹에 의한 접근이 원천적으로 차단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 “오늘 회의를 통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가동 중인 것을 재확인했다”고 전했다.

안보실은 한수원 원전자료 해킹 사건의 목적에 대해서는 “해킹 집단이 과거에 획득한 자료를 5차례에 걸쳐 조금씩 공개하면서 사회불안을 조장하려는 것으로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와 관련해 해킹 및 자료 유출 경위와 진원지에 대해서는 이른 시일 내에 규명해 나가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안보실은 아울러 “안보실을 비롯한 관계기관들은 당분간 사이버 동향을 예의주시하면서 변화하는 상황을 냉철하게 분석·평가하고 적절한 대응태세를 유지하기로 했다”며 “공공기관은 물론이고 민간, 지자체 등의 모든 기반시설에 대해 종합점검을 해 취약점을 보완하는 등 사이버 방호태세를 국가안보 차원에서 지속 강화키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는 북한의 사이버테러 자행 가능성이 점쳐지던 지난 17일에 이어 두번째로 개최된 것으로, 원전 관련 자료를 유출해 공개한 자칭 ‘원전반대그룹’이 원전가동 중단을 요구한 시점에 맞춰 소집됐다.

회의에서는 한국수력원자력의 고리·월성·한빛·한울 등 4개 원전본부의 비상대비태세를 집중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와 함께 추가 사이버 테러 발생 가능성, 해킹 조사 진행 상황, 해커에 대한 수사 진행 상황 등도 공유하며 향후 대처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보실은 한수원 원전자료 유출 사태 이후 관계기관 전문가 3∼4명을 보강받아 사이버위기대응팀을 편성·운영하는 등 사이버안보 컨트롤타워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