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신문은 국민의 목소리 대변할 때 존경받아”

文대통령 “신문은 국민의 목소리 대변할 때 존경받아”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4-04 22:14
업데이트 2019-04-05 02: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63회 신문의 날 축사서 ‘언론 혁신’ 당부

“언론 자유 제약하는 요인 아직도 많아
자극적·완성 안 된 기사 생산 지적 있어
포용국가 만들어 가는 동반자 되길 기대”
이미지 확대
문재인 대통령이 4일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63회 신문의날 기념 축하연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떡케이크를 자르고 있다. 왼쪽부터 장대환 한국신문협회 고문, 정규성 한국기자협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장, 문 대통령, 김종구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 방상훈 한국신문협회 고문,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4일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63회 신문의날 기념 축하연에서 참석자들과 함께 떡케이크를 자르고 있다. 왼쪽부터 장대환 한국신문협회 고문, 정규성 한국기자협회장, 이병규 한국신문협회장, 문 대통령, 김종구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장, 방상훈 한국신문협회 고문,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서울 광화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제63회 신문의 날 축하연에서 “신문은 사회의 거울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할 때 존경받는다”며 국민 신뢰를 얻기 위한 언론의 혁신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정권을 두려워하는 언론은 없고, 많은 해직 기자들이 일터로 돌아갔다”며 그럼에도 언론에 대한 국민 신뢰가 다시 높아지는 것 같지 않다”며 언론 보도에 아쉬움을 표시했다. 그러면서 “진실한 보도, 공정한 보도, 균형 있는 보도를 위해 신문이 극복해야 할 대내외적 도전도 여전하다”고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지난해 9월 3일 열린 방송의 날 축하연에서도 방송의 공공성을 강조한 바 있다.

축사에서 문 대통령은 “언론자본과 광고자본, 사회적 편견, 국민을 나누는 진영 논리, 속보 경쟁 등 기자의 양심과 언론의 자유를 제약하는 요인들이 아직도 많다”고 진단했다. 이어 “나날이 발전하는 정보통신 환경이 정보의 유통 속도를 과거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여 주었지만 동시에 허위 정보와 가짜뉴스를 빠르게 확산시키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면서 “이는 신문과 신문인에 대한 신뢰는 물론 사회 구성원 간 신뢰를 떨어뜨리는 심각한 도전”이라고 지적했다. 또 “신문사의 클릭수가 중요해지면서 자극적인 기사, 깊이 없는 보도가 많아지고 완성되지 않은 기사가 생산된다는 지적이 있다”고 공정성도 우려했다.

언론이 중심을 잡지 못할 경우 정부의 국정운영 동력과 사회통합까지 저해될 수 있다는 우려도 담겼다. 문 대통령은 “신문이 힘없는 사람을 대변할 때 사회가 더 나은 공동체로 발전한다”며 “혁신적 포용국가를 함께 만들어 가는 동반자가 되길 기대한다”고 신문 언론에 손을 내밀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4-05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