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장갑 위 도장 인증샷’ 참으세요

‘비닐장갑 위 도장 인증샷’ 참으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4-14 17:46
업데이트 2020-04-15 00: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역구 내일 오전 2시 윤곽·비례는 오후에 판가름

15일 꼭 기억해야 할 ‘투표 매너’
이미지 확대
‘1m, 마스크, 손위생.’

방역당국은 4·15 총선을 하루 앞둔 14일 투표 시 기억해야 할 것으로 이 세 가지를 꼽았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꼼꼼하게 손을 씻고서 마스크를 쓰고 투표소에 가서 다른 선거인과 1m 이상 거리두기를 하고 대화를 자제해 달라”고 당부했다.

선거 당일 발열 증상이 있으면 임시기표소에서 투표하고 보건소로 가야 한다. 투표 인증을 위해 투표소에서 손에 껴야 하는 비닐장갑 위에 도장을 찍는 행위는 자제하는 게 좋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비닐장갑 위에 투표 도장을 찍으면 맨손보다는 위험도가 낮지만 감염 우려가 있다”며 “투표 확인증을 발급받는 등 좀더 안전한 방법으로 투표 인증샷을 하는 것을 권한다”고 말했다. 비닐장갑을 꼈더라도 마스크나 얼굴을 만지면 감염될 수 있다. 투표할 때 꼈던 장갑은 뒤집어 벗은 뒤 바로 버려야 한다.

자가격리자는 총선일인 15일 오후 6시 이후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 일반 유권자와 투표 시간대가 다르고 기표소도 따로 있다. 14일까지 투표 의사를 밝힌 자가격리자 중 선거 당일 발열, 기침 등 코로나19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사람만 투표할 수 있다.

투표가 가능한 자가격리자는 오후 5시 20분부터 7시까지 외출이 허용된다. 현행 선거법에 따라 오후 6시 이전에는 투표소에 도착해야 투표할 수 있다. 자가격리 유권자들끼리는 2m 간격을 유지해야 한다. 이동할 때는 걷거나 자차만 이용한다. 도보 이동자는 공무원이 1대1로 동행하되 유권자가 많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가격리앱을 활용한다.

박종현 범정부대책지원본부 홍보관리팀장은 “지리정보시스템(GIS) 상황판에서 자가격리앱을 설치한 분들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며 “이동 경로를 벗어나면 이탈로 간주해 경찰에 신고하겠다”고 말했다. 앱을 깔지 않은 자가격리자는 이메일이나 전화로 담당 공무원에게 출발한다고 통보하고서 집을 나서야 한다. 박 팀장은 “예상된 시간에 자가격리자가 투표소에 나타나지 않으면 이탈로 간주하고, 투표소에서 집으로 돌아갈 때도 도착 추정 시간에 도착 통보가 오지 않으면 역시 이탈로 간주해 신고한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4-15 2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