갱도내 北해안포 직접타격 못한듯

갱도내 北해안포 직접타격 못한듯

입력 2010-11-25 00:00
업데이트 2010-11-25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피해 얼마나…

연평도 화력 도발에 대한 우리 군의 대응 포격으로 북한은 얼마나 피해를 입었을까.

군은 남북간 포격이 있은지 만 하루가 지난 24일까지 북한의 정확한 피해규모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다만 K9 자주포의 위력, 정밀 조준 사격을 감안하면 상당한 피해를 입혔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김태영 국방장관은 국회 국방위에 출석, “우리 측은 K9 자주포로 1차 대응 때 (북한의)무도 포진지에 50발을 쏘고, 2차 대응 때 개머리 진지에 30발을 대응사격했다.”면서 “북한 군대도 상당한 피해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군 당국자도 “가로, 세로 50m의 범위를 초토화시킬 수 있는 K9자주포의 위력을 감안하면 80발을 퍼부은 북한 지역 내 사상자는 최소 수십명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위력적인 K9 자주포의 포격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해안포에 직접적인 타격은 입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합동참모본부 상륙작전담당관인 최창룡 해병 대령은 오전 합참 공식브리핑에서 “북한 해안포 진지는 갱도 안에 구축해 운영되고 있어 우리 군이 운영하는 곡사 무기로는 해안포를 직접 타격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일각에선 “북한 해안포 운영 병력이 대부분 갱도 포진지에 배치돼 있었을텐데 빈 막사에 포격을 가한 것 아니냐.”는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최 대령은 “해안포를 무력화하기 보다는 막사라든지 주변에 있는 다른 시설을 무력화해 해안포를 제대로 운영하지 못하게끔 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군 당국자도 “위성사진 등 정보자산을 활용해 미리 파악해둔 북한의 주요 해안포 기지에 대한 정확한 위치와 부대 배치 상황, 운영 내역 등을 기초로 정밀 포격이 이뤄졌다.”면서 “해안포 기지로 연결되는 전선로, 보급로, 관련 장비, 중대본부, 막사 등이 주요 타격 대상이 됐기 때문에 피격 부대는 사실상 해안포 운영이 불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군은 북한의 화력도발 및 우리 군의 대응 포격 직후 정찰 위성 등 한·미 양국의 정보자산을 활용해 북한군의 피해규모를 분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0-11-25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