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北포격에 이례적 강력 비판

독일, 北포격에 이례적 강력 비판

입력 2010-11-25 00:00
업데이트 2010-11-25 00: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독일 정부가 북한의 연평도 포격을 이례적으로 신속하고 강력하게 규탄하고 나선 것은 이번 사건의 중대성과 한반도 문제에 대한 높아진 관심 등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독일 정부는 사건 직후인 23일 오전(현지시각) 귀도 베스터벨레 외무장관 명의의 대북 규탄 성명을 발표한 데 이어 24일에는 홍창일 주독 북한대사를 불러 북한의 도발행위를 강력히 비판했다.

 또 베스터벨레 장관은 의회에 출석해 국제사회에서 북한의 협박이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으며 앙겔라 메르켈 총리는 직접 이명박 대통령에게 전화해 한반도 상황을 논의했다.

 독일은 과거 남북의 도발이나 남북한 간 군사 충돌이 발생할 때도 북한에 대한 비난 성명을 내곤 했지만,북한 대사를 직접 불러 항의하거나 총리실까지 나선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일련의 대응 과정도 극히 신속하고,단호하게 이뤄졌다.

 이것은 휴전 이후 첫 번째 육상 포격이라는 사태의 중대성과 함께 민간인 사망 등 직접 피해가 발생했다는 인도적 문제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나치라는 아픈 과거사 때문에 인도주의적 문제에 유난히 강한 의지를 갖고 있는 독일로서는 민간인 지역까지 포격하는 북한의 행태를 묵과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이 대통령과 통화에서 “북한의 이번 도발 행위는 비인도적이며 이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를 비롯한 독일 고위 관계자들이 최근 서울에서 열린 세계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한국의 발전상과 역동성에 큰 감명을 받았으며 이를 계기로 한반도 문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것도 한 요인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구동독 출신인 그녀는 방한 중 강연에서 경제기적과 분단이라는 한국과 독일의 공통점을 거론하며 “먼저 통일을 이룬 국가로서 한국이 분단을 극복하는 과정에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었다.

 이와 함께 안보리 상임이사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는 독일이 국제사회에서 경제에 걸맞은 위상을 찾기 위해 세계 평화와 관련된 중대 사안에 적극적인 목소리를 내는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메르켈 총리가 이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유엔 안보리 의장국인 영국과 이번 사태에 대한 의견을 나누고 뜻을 같이 하면서 한국을 적극 지지하고 돕겠다”고 말한 것도 독일의 이 같은 의지를 과시한 것으로 간주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