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중국의 룰이 지배”… 공격적 외교 전환

中 “중국의 룰이 지배”… 공격적 외교 전환

입력 2012-03-14 00:00
업데이트 2012-03-14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유소작위’(有所作爲·할 일은 적극적으로 한다) 외교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이어도 이슈화에 때맞춰 중국의 규칙이 지배하는 세계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 보다 공격적인 외교를 구사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공산당 내부에서 제기되면서 중국의 일방통행식 패도(覇道) 외교에 대한 우려감이 높아지고 있다.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人民)일보 해외판은 12일 ‘외교, 앞서가는 담력과 전략이 필요한 때’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최근 시리아 문제 해결 과정에서 (서방과 중국 사이에) 벌어진 치열한 대결은 국제질서가 어떻게 바뀌고 있고, 또 게임의 룰이 어느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를 보여 줬다.”면서 “중국은 앞으로 (국제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국 방식의 문제 해결 로드맵을 내놓고 그에 따라 문제를 해결해야 중국 발전을 위한 국제환경 조성은 물론 (일극화에서) 다극화로 전환된 국제 사회에서 보다 합리적이고 공정한 질서를 세울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를 위해 무엇보다 중국 외교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기존의 수동적인 외교를 버리고 능동적인 외교적 대응을 취하는 것”이라며 공격적 외교 패러다임을 주문했다.

홍콩 명보(明報)도 13일 ‘중국 외교, 수비에서 공격으로’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수비에서 공격 스타일로 바뀌고 있는 중국의 외교 스타일은 중동뿐 아니라 한반도, 수단 등의 문제 처리 방식에서도 이미 드러났고, 이는 중국의 외교 방침에 큰 변화가 생겼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이에 대해 중국 학자들은 중국의 국력이 커짐에 따라 외교도 능동적으로 변할 수밖에 없으며, 중국은 앞으로 다른 나라들에 대해 중국에 보다 협력적인 자세를 취할 것을 요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한국의 경우 탈북자 북송, 이어도 주권 분쟁 등으로 연달아 마찰을 빚고 있는 것과 관련, 청샤오허(成曉河) 인민대 국제관계학원 교수는 13일 “한·중 사이에 마찰이 확대되면 양국 간 최후 마지노선인 경제무역 분야까지 타격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민일보의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이날 사설에서 “중국은 쑤옌자오(蘇巖礁·이어도의 중국명) 문제와 관련된 분쟁을 확대할 생각도 여력도 없다. 그러나 한국이 사안을 확대하고 싶다면 중국은 끝까지 싸워 줄 용의가 있다.”며 적반하장격 협박도 불사했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3-14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