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에 北핵실험 제지 요청…유엔에 추가 제재대상 제출”

“中에 北핵실험 제지 요청…유엔에 추가 제재대상 제출”

입력 2012-04-27 00:00
업데이트 2012-04-27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미 ‘대북 압박’ 수위 높이기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외교부 차관급 인사의 말을 인용, “북한이 3차 핵실험 준비를 거의 끝냈다.”고 25일 보도했다. 일본 교도통신도 “북한이 빠르면 1주일 안에 핵실험을 실시할 가능성이 크다.”고 타전했다. 미 NBC 방송도 행정부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북한이 늦어도 2주 안에 핵실험을 할 가능성이 100%”라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 조병제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26일 정례브리핑에서 “현 시점에서 북한의 핵실험이 임박했다는 징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은 없다.”며 “우리와 국제사회가 북한이 추가 도발을 하지 않도록 설득하고 있다.”고 밝혔다. 조 대변인은 또 “중국 측에도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한 모든 방안을 강구해 줄 것을 요청하고 있으며, 최근 북·중 간 접촉 기회를 통해 중국 측의 뜻과 우려가 북한에 전달됐을 것으로 이해한다.”고 덧붙였다.

한국과 미국은 이와 별개로 대북 제재 수위를 높이는 등 다각도의 압박에 나섰다. 정부 당국자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제재 단체와 품목을 추가하는 의장성명을 채택하면서, 우리도 자체적으로 조사한 추가 대상을 안보리 산하 북한제재위원회에 제출했다.”며 “2009년에는 미국과 협의, 미국 정부가 대표로 제출했는데 이번에는 한국 정부가 별도로 제출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이 먼저 제출한 북한의 17개 기관·단체보다 10여개 많은 대상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제재위는 의장성명을 바탕으로 다음달 1일까지 제재 대상을 추가 지정할 계획이다. 그러나 중국·러시아 등 15개 안보리 이사국들의 만장일치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중·러 등을 설득하는 것이 과제로 남아 있다. 정부 소식통은 “중·러는 북한제재위에 제재 대상 명단을 제출하지 않은 것으로 안다.”며 “이들은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해 소극적일 수 있지만, 의장성명 채택에 합의한 만큼 추가 제재를 완전히 반대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미경기자 chaplin7@seoul.co.kr

2012-04-27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