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에서 다시 만나자”…이산가족 또 기약없는 이별

“하늘에서 다시 만나자”…이산가족 또 기약없는 이별

입력 2014-02-25 00:00
업데이트 2014-02-25 13: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전 ‘작별상봉’…3년4개월 만의 이산가족 상봉 종료

3년4개월 만에 재개된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 25일 종료됐다.

지난 20∼22일 1차 상봉에 이어 23일부터 시작된 2차 상봉이 이날 끝남에 따라 모든 행사 일정이 마무리됐다.

60여 년 만에 재회한 남북 이산가족들은 2박3일의 짧은 만남을 뒤로하고 다시 기약없는 이별을 해야 했다.

2차 상봉에 참가한 북측 상봉 대상자 88명과 남측 가족 357명은 이날 오전 9시부터 1시간 동안 금강산호텔에서 ‘작별상봉’을 한 뒤 헤어졌다.

이산가족들은 작별상봉에서 마지막 인사를 하며 오열했다. ‘고향의 봄’, ‘가고파’ 등 노래를 부르고 큰절을 하며 석별의 정을 나누기도 했다.

남궁봉자(61)씨는 북측 아버지 남궁렬(87) 씨에게 “오래 사셔야 다시 만난다”라며 건강을 당부했고, 아버지는 “또 보내 줄거다, 다시 만나자”라며 또 한 번의 만남을 기약했다.

북측 최고령자 박종성(88)씨는 세 여동생 종분(80), 종옥(75), 종순(68) 씨에게 “나랑 같이 가자, 나랑 같이 살자”라며 울었다. 동생들은 “오빠 우리 오빠 보고 싶어 어떻게 사느냐”라고 오열하면서 “통일되면 보자”라며 건강을 당부했다.

또 다른 북측 최고령자 김휘영(88) 씨의 남쪽 여동생 종규(80)·화규(74)·복규(65) 씨는 오빠 휘영씨에게 “이제 소원이 없다”라며 “다음에 만날 때까지 꼭 살아있어야 한다”라고 말했다.

북측 동생 조원제(83)씨는 남측 최고령자인 누나 이오순(94)씨에게 “누님, 이제 언제 보나요. 건강하세요. 오래 사세요”라며 우는 누나를 달랬다.

강원도 양구가 고향인 조돈방(69)씨는 북측 누나 조매숙(82) 씨에게 “통일이 되면 교통이 좋아 고향까지 2시간밖에 안 걸린다”라고 말했다. 매숙씨의 딸은 삼촌 돈방씨에게 ‘통일아 오너라, 안녕히 다시 만나요’라고 적힌 종이를 건넸다.

김두인(78)씨는 작별 상봉 후 떠나는 버스에 탄 북측 형 김화인(85)씨에게 “형님, 이제 마지막”이라며 “하늘에서는 건강한 모습으로 만나자. 사랑한다”라며 작별 인사를 했다.

남측 상봉 단장인 김종섭 대한적십자사 부총재는 이날 헤어지기 전에 북측 단장인 리충복 조선적십자회 중앙위 부위원장에게 “이산가족 상봉을 정례화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에 리 부위원장은 “아직 포기하지 말고”라며 “북남관계를 한 단계 더 발전시켜야 한다”라고 화답했다.

남측 가족은 오후 1시께 금강산을 출발, 오후 4시30분께 강원도 속초로 돌아온다.

지난 23일 오후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에서 해후한 이들은 이날까지 2박3일간 개별상봉, 단체상봉, 공동중식 등 6차례에 걸쳐 11시간을 만났다.

2010년 10월 30일∼11월 5일 18차 이산가족 상봉 이후 처음 열린 이번 상봉은 남측 상봉 신청자가 북측 가족을 만난 1차 상봉(2월20∼22일)과 북측 신청자가 남측 가족을 만난 2차 상봉(2월23∼25일)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2차와 같은 방식으로 이뤄진 1차 상봉에서는 남측 상봉 대상자 82명과 동반가족 58명이 북측 가족 178명을 만났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