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영국제 다목적레이더 24대 도입해 시험중”

“軍, 영국제 다목적레이더 24대 도입해 시험중”

입력 2014-04-10 00:00
업데이트 2014-04-10 0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형 무인항공기 탐지하도록 업체에 보완 요청

우리 군이 영국제 초정밀 다목적 레이더 24대를 도입해 전투시험을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군의 한 소식통은 10일 “영국 플렉스텍사의 ‘브라이터’ 초정밀 레이더 24대를 도입해 수도방위사령부와 일부 전방군단 등에서 전투실험을 진행 중”이라며 “일부 시험에서 탐지가 양호한 것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군은 2011년 2대를 시험 도입해 전투시험을 했고 전투장비로서 적합하다는 판정을 내린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2012년 5대, 2013년 17대를 각각 도입한 데 이어 추가 도입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이 레이더는 이달 초 실시된 전방군단의 전투실험에서 10㎞ 거리의 무인항공기(UAV), 1.5㎞ 거리의 멀티콥터(헬리캠)를 정확히 탐지했다”고 설명했다.

대당 가격 3억원인 이 레이더는 4㎞ 거리에 있는 지상의 병력과 10㎞ 거리에 있는 이동 병력을 탐지하는 능력도 갖춘 것으로 알려졌다. 또 14∼32㎞ 거리에 있는 차량을 탐지하는 능력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군은 현재 배치된 레이더로는 북한의 소형 무인항공기를 탐지하는 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영국 플렉스텍사에 소형 무인기 탐지율을 높이도록 작전요구성능 보완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소식통은 “파주와 삼척 등에서 발견된 소형 무인기와 같이 길이 2m 이하의 무인기를 제대로 탐지할 수 있도록 영국의 제작사에 제품의 기술을 보완해주도록 요청했다”고 말했다.

김관진 국방장관은 전날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답변에서 “현재 북한 무인기와 유사한 제품을 가지고 전투시험을 하고 있다”면서 “현재 배치된 (브라이터) 레이더 전력으로 포착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육군은 탐지고도 3㎞인 ‘레포타’, ‘TPS830-K’ 저고도 탐지레이더를 운용하고 있지만 길이 2m 이하의 비금속 재질의 소형 무인기는 탐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