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北 병사가 철책 뚫고 ‘노크 귀순’ 30년 전엔 수류탄·총기 사고 15명 사망

2년 전 北 병사가 철책 뚫고 ‘노크 귀순’ 30년 전엔 수류탄·총기 사고 15명 사망

입력 2014-06-23 00:00
업데이트 2014-06-23 03: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단장의 무덤’… 사고 끊이지 않는 22사단

21일 총기 난사 사고가 발생한 육군 22사단은 2012년 ‘노크 귀순’ 사건 등 크고 작은 사고가 끊이지 않았던 부대다. 30년 전 유사한 사고가 발생해 병사 15명이 목숨을 잃기도 하는 등 불명예스러운 사고로 기강 해이 지적을 수차례 받아 왔다.

강원 고성군 동부전선 최전방에 위치한 22사단은 다른 부대와 달리 지리적으로 산악과 해안 경계를 모두 담당하고 있어 근무 강도가 센 곳으로 유명하다. 병사들은 늘 긴장 상태에 있어야 하고 지휘관들도 자주 경질돼 ‘사단장의 무덤’이라는 얘기가 나올 정도다.

2012년 10월, 북한군 병사 한 명이 동부전선 철책선을 넘어 최전방 일반전초(GOP) 부대 내 생활관으로 들어올 때까지 아무도 눈치채지 못한 이른바 ‘노크 귀순’ 사건이 대표적이다. 당시 북한군이 내무반 문을 두드리고 귀순 의사를 표명할 때까지 철책이 절단된 사실조차 몰랐다. 결국 장성 2명과 영관장교 2명이 징계를 받았다. 같은 해 3월 28일엔 22사단 해안초소에서 박모(21) 일병이 머리에 총상을 입고 숨진 채 발견됐으나 당시 이 사건을 제대로 처리하지 않은 점이 밝혀져 해당 부대 대대장이 보직 해임됐다.

2009년 10월에는 민간인이 22사단 관할 구역 철책을 절단하고 월북하는 또 다른 경계 실패 사건이 발생해 사단장과 연대장, 대대장 등 5명이 보직 해임되고 징계위원회에 넘겨진 바 있다.

2005년 12월에는 예비역 중사 정모씨 등 2명이 K2 소총 2정과 수류탄 6발, 실탄 700정을 탈취했는데도 부대 측은 이러한 사실을 하루가 지난 뒤에야 파악했다.

22사단의 대표적 대형 참사는 30년 전인 1984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984년 6월 22사단 건봉산 까치봉 경계초소(GP)에 근무하던 조준희 일병이 내무반에 수류탄 3발을 투척하고 소총으로 사격을 가해 동료 소대원 15명을 사살하고 11명에게 중상을 입힌 후 월북했다. 당시 북한은 대남선전방송을 통해 조 일병의 월북을 대대적으로 선전하기도 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06-23 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