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유엔외교 끝은 ‘强대强 대치’ 장기화

남북 유엔외교 끝은 ‘强대强 대치’ 장기화

입력 2014-09-30 00:00
업데이트 2014-09-30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박 대통령 北 인권문제 전면 제기

박근혜 대통령의 첫 유엔 외교에서 과거와 달라진 건 북한 인권문제가 전면에 등장했다는 점이다.

박 대통령이 지난 24일(이하 현지시간)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 주민의 인권 개선뿐 아니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반인도적 행위를 명시적으로 비판한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의 권고 이행까지 직접 언급하면서 남북 관계는 ‘강 대 강’의 대치 정세가 당분간 지속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우리 정부가 북한 김정은 체제의 ‘아킬레스건’인 인권문제를 공세적으로 제기해 이를 국제사회의 현안으로 부각시켰다는 평가도 있지만 당분간 남북 외교의 대결 구도가 고조될 것이라는 우려도 적지 않다.

정부는 29일 북한이 박 대통령의 유엔총회 연설 내용을 원색적으로 반복 비난하는 데 대해 “북한 당국의 최근 이런 언동은 그들의 본모습을 스스로 여과 없이 보여 주는 것”이라고 강력 비판했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우리로서는 일일이 대꾸할 가치를 느끼지 않고 있다”며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별도의 채널을 가동해 북한에 우리 제의를 전달할 계획은 없다”고 일축했다.

자 대사는 “우리 측의 만나자는 제안(미국 주재의 북한인권 고위급회의)을 거절한 미국 측 태도에 비춰 더이상의 만남을 시도할 계획이 없다”며 남북 대화 가능성에 대해서도 “(가능성은) 없다”고 단언했다. 리수용 북한 외무상도 “유엔을 비롯한 해당 국제기구들과 인권 대화와 협력을 해 나갈 용의가 있다”면서도 “우리를 적대시하지 않는 나라들과”라는 단서를 달아 한·미에 대한 깊은 불신을 드러냈다.

북한은 국방위원회 정책국 대변인 담화와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성명, 노동신문 논평을 잇달아 내놓고 박 대통령을 실명으로 언급하며 맹비난하고 있다. 이 때문에 남북 간 ‘말 대 말’ 대치로 인해 감정의 골이 깊어져 이성보다는 감성적 대응에 치우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거친 표현을 써 가며 비난하고 있는 것은 남한이 동기를 유발한 측면이 있다”면서 “양측이 현재의 감정을 추스르는 것이 먼저”라고 말했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4-09-30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