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교육감 후보 공약 실천 이렇게] <2> 남승희 후보

[서울시교육감 후보 공약 실천 이렇게] <2> 남승희 후보

입력 2010-05-26 00:00
업데이트 2010-05-26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책임급식·종일제 보육 실현”

‘교육의 중립성’을 위해 정당 추천을 배제한 교육감 선거에서 후보 간에 진보와 보수, 또 여당계, 야당계로 사실상 편 가르기가 난무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색깔론을 떠나 ‘엄마표 교육혁명’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감동시켜 맞춤식 학교를 만들고자 하는 후보가 있다. “진짜 학교 교육은 엄마가 아이 돌보듯 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남승희 후보의 3대 공약 ▲책임급식제도 ▲종일제 보육·교육 ▲자기주도학습 체제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들어 봤다.

이미지 확대
서울시 첫 교육기획관 출신이자 한국의 ‘미셸 리’로 불리는 남승희 서울시교육감 후보는 12일 교육과 보육에서 소외된 학생들을 돌보는 책임급식제, 종일 교육제 등 ‘엄마표 교육혁명’을 핵심공약을 설명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서울시 첫 교육기획관 출신이자 한국의 ‘미셸 리’로 불리는 남승희 서울시교육감 후보는 12일 교육과 보육에서 소외된 학생들을 돌보는 책임급식제, 종일 교육제 등 ‘엄마표 교육혁명’을 핵심공약을 설명하고 있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① 급식재료 이력제 도입

서울시교육감 출마 후보 가운데 ‘무상급식’ 공약을 빠뜨린 이는 한 명도 없다. 심지어 서울시장 후보도 전면 실시 혹은 단계적 추진으로 시행 범위와 시기만 다를 뿐 정책 방향엔 공감한다. 하지만 지난 대선부터 제기돼온 재원확보 방안에 대한 논란은 여전하다.

남 후보는 “무상, 유상 급식을 따지기 전에 우리 아이들이 믿고 먹을 수 있는 급식이 되도록 학교가 책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국 단위에서 추진 중인 학교 급식 직영전환을 넘어 농·수·산 식품 이력제와 안전 검수 시스템을 도입해 책임급식을 실현한다는 것이 그의 목표다. 적어도 급식 사고나 여름철 식중독으로부터 우리 아이들을 지켜야 한다는 것이 부모의 마음이자 남 후보의 핵심 공약인 셈이다.

그는 “재원 확보는 서울시가 추진 중인 친환경 급식 유통센터 설치와 연계해 유통단계 축소로 절감된 원가비용과 교육청 자체예산 1280억원(연간)을 투입해 해결할 예정이다.”면서 “시내 183개교의 노후화된 급식시설 개·보수를 통해 안전하고 질 좋은 급식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아침 간이 급식’ 제도를 신설해 집안 사정 때문에 아침을 거를 수밖에 없는 아이들이 한 명도 없게 하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이미지 확대
② 맞벌이 위한 돌봄교실 63억투입

한국이 세계 최저 출산국이 된 원인에 대해 남 후보는 “젊은 부부들이 아이를 낳아도 돌봐줄 곳이 없는 현실이 문제”라면서 “영·유치원생부터 초등학생까지 학교에서 책임지고 맡아준다면 저출산 문제도 저절로 해결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맞벌이 부부를 위해 아침부터 저녁까지 아이를 맡길 수 있는 ‘돌봄교실’에 63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남 후보가 국내 첫 서울시 교육기획관으로 활동하면서 육아와 교육 문제 해결책으로 만든 ‘에듀케어(영·유치원 보육)’ 기능의 연장선상인 셈이다.

또 명절이나 휴일엔 운영되지 않는 초·중·고 방과 후 학교를 365일 연중 확대해 일터에 나간 부모들의 자녀 걱정을 덜어줄 예정이다. 500개교에서 시행되는 이 제도엔 교육청이 전체 예산의 3분의1에 해당하는 50억원을 투자하면, 학부모는 월 1만원만 부담하면 된다. 여름이나 겨울방학 때 대부분 아이들이 해외 연수를 가거나 사교육을 받는 상황을 고려해, 저소득층이나 희망 학생에 한해 방학 중 무상 보충 수업도 계획 중이다.

③ 학교 자율학습실 372곳 확충

대학 입시에 입학사정관제가 확대되면서 ‘자기 주도 학습’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 남 후보는 핵심공약 두 번째로 제시한 방과 후 학교 확대와 더불어 학생들이 방과 후에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자율학습실 372곳을 확충할 계획이다. 특히 대부분 고교에서 자율학습실이 운영되는 것과 달리 중학교는 지역별로 편차가 커 사각지대가 많은 점을 감안, 재원 18억원 대부분을 낙후지역 중학교에 우선 배정할 예정이다.

남 후보는 “자율 운영으로 자칫 공부 분위기가 산만해지기 쉬운 것을 막기 위해 교사자격증 소지자나 대학생 인턴 교사를 활용해 교실별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일정 수준 이하의 기초학력 미달 학생에 대해서는 개인별 ‘학력증진 목표관리제’를 도입하고, 개별 교사의 일대일 학생 관리를 통해 학교가 학생의 기본 학력을 책임지게 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는 “교육이 단순히 수업을 가르치는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보육 개념까지 확대해 공부할 곳이 없거나, 먹을 것 없는 아이까지 맘 놓고 학교에서 지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남승희식 교육의 최종 목표”라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5-26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