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사 무효표 ‘급증’ 왜?

경기지사 무효표 ‘급증’ 왜?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5:4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일 실시된 6.2지방선거의 경기도지사 선거에서 무효표가 2006년 제4회 지방선거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3일 경기도선관위의 도지사 선거 개표집계 현황에 따르면 전체 투표수 454만2천130표 가운데 65.7%(369만5천552표)를 개표한 이날 오전 3시 현재 12만5천322표가 무효표로 분류됐다.이는 전체 개표수의 4.15%에 해당한다.

 무효표 비율이 그대로 유지될 경우 올 경기지사 선거의 전체 무효표는 무려 19만여표에 이를 것으로 추산됐다.

 이같은 무효표 비율은 2006년 5월 실시된 제4회 지방선거 당시의 무효표 비율 1.08%(4만43표)보다 2.8배 높은 것이다.

 더욱이 올 무효표가 19만여표에 이를 경우 이는 2006년 선거 당시의 무효표보다 무려 3.7배 많은 것이다.

 선거관리위원회는 올해 무효표가 이같이 많이 늘어난 이유 가운데 하나로 적지 않은 유권자들이 투표를 하루 앞둔 지난 1일 사퇴한 심상정 후보란에 기표한 것을 꼽았다.

 선관위가 각 투표소마다 심 후보 사퇴 사실을 알리는 공고문을 게시했으나 유권자들이 이를 미처 알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또 심 후보 사퇴 이전에 실시된 17만9천여명의 부재자 투표에서도 심 후보에게 기표,무효 처리된 표가 많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이날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 캠프에서는 선관위가 투표소마다 심상정 후보의 사퇴 사실을 알리는 공고문을 눈에 잘 띄는 곳에 부착하지 않아 유권자들이 심 후보의 사퇴 사실을 제대로 알지 못했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기도 했다.

 일부에서는 이번 지방선거가 ‘1인8표제’로 복잡하게 진행된 것도 많은 무효표 발생의 원인중 하나로 꼽았다.

 의정부 개표소의 한 관계자는 “무효표 가운데 기표를 후보자 이름 위에 하는 등 잘 못으로 무효표가 많았다.”고 말한 뒤 “심상정 전 후보에게 기표한 무효표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밝혔다.

 도 선관위 관계자는 “무효표를 정밀 분석하지 않아 올 선거에서 왜 이렇게 무효표가 많이 늘었는지 아직 알지 못한다.”며 “심상정 전 후보에게 대한 기표도 원인중 하나로 보인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화보] 당선자들 환희의 순간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