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대선 바뀐 선거구도

18대 대선 바뀐 선거구도

입력 2012-12-19 00:00
업데이트 2012-12-19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① 보수연합 vs 야권연대 ② 여성후보 vs 남성후보 ③ 지역대결 완화 조짐 ④ 첫 재외국민 대선 투표

박근혜 새누리당,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가 치열한 양강 대결 구도를 펼친 18대 대통령 선거는 기존 선거와 사뭇 달라진 구도를 보였다. 새로운 선거 구도가 자리를 굳히기도 했고 새로운 맹아가 나타나면서 기존의 선거 구도가 완화되기도 했다. 이렇게 바뀐 구도를 되돌아 보면 18대 대선의 의미가 한층 선명해진다.

“투표 참여·바른 선택하세요”
“투표 참여·바른 선택하세요” 공명선거실천시민운동협의회(공선협)가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투표 참여, 바른 선택 전국캠페인’을 벌이며 구호를 외치고 있다. 오른쪽 두 번째부터 문재인 민주통합당 대선 후보 측 우원식 총무본부장, 유원옥 공선협 상임대표, 박근혜 새누리당 후보 측 문정림 의원.
연합뉴스
민주당 측은 이번 대선을 과거세력 대 미래세력의 대결이라고 주장했다. 박근혜 후보로 대표 되는 과거세력 대 문 후보·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로 대표 되는 미래세력이 대결했다는 것이다. 새누리당에서는 동의하지 않지만 국민들 사이에서도 과거세력 대 미래세력의 대결 구도라는 프레임(틀)이 먹혀들었다는 분석도 있다.

이번 대선은 박 후보를 중심으로 한 여권의 범보수 대연합과 문 후보를 축으로 모인 범야권 연대가 충돌한 보혁(保革) 대결로 치러졌다. 안철수 전 후보가 야권 후보 단일화 과정에서 문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사퇴했고, 심상정 진보정의당 후보와 이정희 통합진보당 후보가 사퇴하면서 1987년 대통령직선제 개헌 이후 첫 보혁 간 1대1 대결 구도가 짜여졌다.

박 후보는 한 걸음 앞서 보수 대연합을 완성했다. 이인제 전 선진통일당 대표, 이회창 전 자유선진당 대표가 박 후보 지지를 선언하며 가세했다. 지난 총선에서 국민생각을 이끌었던 박세일 전 서울대 교수도 합류하면서 범보수 대연합이 완성됐다. 새누리당은 보수 대연합이 아니라 국민대통합이라고 주장했다.

구정치 대 새정치 세력의 대결 구도 역시 18대 대선에서 처음으로 부각됐다. 안철수 현상으로 대변되는 새정치가 선거 기간 내내 최대 쟁점이 됐다. 경제성장과 지역주의 타파 등이 주요 쟁점이 되던 이전 대선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민주당 문 후보는 국회의원 정수·중앙당 축소 등 정치·정당 쇄신을 통한 국민연대를 약속하며 안 전 후보와의 단일화를 추진해 성사시켰다. 새누리당도 새정치 개혁안을 내놨다.

가장 크게 부각된 선거 구도는 여성 후보와 남성 후보의 대결이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준비된 여성 대통령 박근혜’라고 호소한 박 후보가 여성들 사이에서는 문 후보보다 앞선 결과를 보였다. 반면 남성들 사이에서는 전통적으로 진보 진영 후보 지지세가 강한 데다 여성 대통령론에 대한 반작용까지 겹친 듯 문 후보 지지가 높았다.

기존에 맹위를 떨쳤던 지역대결 구도는 여전히 공고했지만 완화될 조짐이 보였다. ‘영남 유권자=보수 후보, 호남 유권자=진보 후보 지지’라는 공식이 깨지지는 않았지만 부산 출신인 문재인 후보가 호남 유권자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받음으로써 동서 대결 구도가 일부 완화됐다는 평이 나온다. 각종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는 부산·경남에서는 30~40% 안팎의 비교적 높은 지지를 받았다.

선거 구도에 새롭게 영향을 미친 것은 투표를 참여하고 싶어도 못 했던 국민들의 투표 참여 확대다. 지난 4·11 총선에 이어 이번 18대 대선에서 최초로 재외국민 투표가 이뤄졌다. 장기간 선상 생활을 하는 선원 등에게 투표권이 주어지는 등 부재자 투표도 많이 확대됐다. 세계 164개 공관에서 실시된 재외국민 투표에는 전체 재외 선거권자 220여만명의 7.1% 수준인 15만 8235명이 투표에 참여했다.

선원 7060여명이 처음으로 선상 부재자투표 선거권을 행사하는 등 투표불가 국민을 최소화한 것도 초접전 선거 구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됐다. 부재자 투표자는 16대 대선보다는 13만여명, 17대 대선보다는 약 21만명 늘었다. 지난 13일부터 이틀간 치러진 부재자 투표에 총대상자 97만 3525명 중 89만 8864여명이 참여했다. 여야의 유불리를 가늠하기는 쉽지 않다.

정책 면에서의 여야 간 대결구도는 잘 드러나지 않았다. 박·문 후보 진영 모두 보수나 진보 진영 표결집은 될 수 있는 데까지 최대한 이뤄졌다며 중도부동층 공략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경제민주화나 복지 강화 등 민생 공약에서는 여야를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였다. 역대 대선 때 있었던 비자금 의혹, 병역 비리 의혹, BBK 의혹 등 대형 네거티브는 등장하지 않았다.

이춘규 선임기자 taein@seoul.co.kr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2-12-19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