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왜 부정확하나...“선거결과 예측 아닌 단순한 스냅사진”

여론조사 왜 부정확하나...“선거결과 예측 아닌 단순한 스냅사진”

입력 2012-10-27 00:00
업데이트 2012-10-27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Weekend inside-’대선 풍향계’ 여론조사 해부] 표본조사의 한계… “선거결과 예측 아닌 단순한 스냅사진”

“여론조사는 선거결과의 예측이 아닌 단순한 스냅사진이다.”

여론조사의 대상을 과학적으로 뽑아내는 방법을 만들어 ‘여론조사의 아버지’라 불리는 조지 갤럽의 말이다. 1935년 미국 여론연구소를 세운 갤럽은 한해 뒤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프랭클린 루스벨트의 당선을 맞혔다.

이미지 확대


반면 1000만명에게 설문지를 돌려 무려 240만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루스벨트의 패배를 예측했던 인기잡지 ‘리터러리 다이제스트’(Literary Digest)는 결국 문을 닫았다.

리터러리는 전화나 자동차 등록명부 등을 이용해 중산층 이상에 한정해 설문을 한 반면, 갤럽은 불과 5만명에게 설문조사를 하면서도 성별·수입·정치 견해 등으로 구분해 표본을 선정했다. 하지만 이처럼 과학적 방법을 여론조사에 도입한 갤럽조차 ‘스냅사진’이라며 스스로 여론조사의 한계를 인정했다.

여론조사의 오류와 한계는 최근 우리의 선거 여론조사에서도 드러난다. 가깝게는 지난 4월 총선은 물론 2000년 16대 총선에서도 방송3사는 투표마감 직후 출구조사 결과를 통해 민주당이 제1당이 될 것이라고 예상했지만 실제 개표 결과는 다르게 나타났다.

과학적 통계를 바탕으로 한 여론조사의 오류는 왜 반복되는 것일까. 이는 기본적으로 여론조사 표본의 문제에서 비롯된다. 가장 정확한 여론조사는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전수조사’이지만, 이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때문에 실제 여론조사에서는 인구 구성표에 따라 나이, 성별, 지역을 기준으로 표본을 나누는 이른바 ‘할당표집’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하지만 유선전화로 조사하는 경우, 시간대에 따라 응답자가 다를 수 있어 편향이 생기게 된다.

‘가중치 보정’의 문제도 있다. 인구 구성표를 채울 때까지 전화를 계속 돌릴 수 없기 때문에 일정 수만 응답을 받고 나머지는 가중치로 채워 인위적으로 인구 구성표를 만들어 내는 것이 가중치 보정이다. 예를 들어 전국 1000명을 조사할 때 인구구성표에 따라 서울·남성·20대의 표본 10명이 필요하지만 2명만 응답했다면 여기에 5를 곱해 10명의 의견을 만들어 내는 식이다. 2명이 한쪽에 치우친 대답을 했다면 더해진 가중치만큼 결과는 왜곡될 수 있다.

전화 조사에는 무작위 전화걸기(RDD·Random Digit Dialing)와 자동응답시스템(ARS·Automatic Response Service) 방식이 있다. ARS는 조사대상이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번호에 한정된다. 하지만 전체 전화번호 가운데 전화번호부에 등재된 비율이 60%도 되지 않는 데다, 휴대전화가 보편화되고 나홀로 가구 등으로 유선전화 보급률 자체가 감소하면서 ARS 방식에 대한 표본의 대표성과 신뢰성에 의문이 생기게 된다. 유선전화가 없거나 인터넷 전화나 휴대전화만 사용하는 가구가 20%를 넘는다는 통계도 있다.

이 같은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RDD 방식이다. RDD는 지역번호와 국번을 제외한 4자리 번호를 컴퓨터로 자동 추출해 선정된 전화번호를 활용하는 방식이다. 0000~9999 범위에서 무작위로 4자리 번호를 추출하기 때문에 전화번호부에 등재되지 않은 번호까지 여론조사에 이용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지난해 4월 재보선 때부터 본격 활용되기 시작했다. RDD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유선전화와 휴대전화를 어느 정도 비율로 혼합해야 정확한 여론을 반영할 수 있는 지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나오지 않았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2-10-27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