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개머리·무도 진지에 화재·다수의 피탄 흔적”

“北 개머리·무도 진지에 화재·다수의 피탄 흔적”

입력 2010-11-27 00:00
업데이트 2010-11-27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합참 북한군 피해 공식 확인

군은 지난 23일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에 대한 K9 자주포의 대응 사격 결과, 북한군의 개머리와 무도 진지에 다수의 피탄 흔적을 남겼고 화재가 발생한 사실을 식별했다고 26일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신현돈(육군 소장) 작전기획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무도와 개머리 지역에 화재가 발생했었고, 개머리 지역에서는 다수의 피탄 흔적이 목격됐다.

이미지 확대
北 무도진지 피탄흔적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은 지 나흘째인 26일 오전 연평도 조기박물관 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무도진지 앞에 우리 군의 대응 사격으로 인한 피탄 흔적이 보이고 있다. 점선 안이 피탄 흔적이다.  연평도 연합뉴스
北 무도진지 피탄흔적

북한의 연평도 포격 도발이 있은 지 나흘째인 26일 오전 연평도 조기박물관 전망대에서 바라본 북한 무도진지 앞에 우리 군의 대응 사격으로 인한 피탄 흔적이 보이고 있다. 점선 안이 피탄 흔적이다.

연평도 연합뉴스


무도 지역은 교통호(이동로)가 매몰되거나 다수의 피탄 흔적이 있었다.”면서 “관련 영상을 통해 확인했다.”고 말했다. 이는 군이 미군과 협조해 북한 해안포기지 주변의 위성사진과 정찰화면 등을 확보해 피해 상황을 면밀히 관측하고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 셈이다.

신 소장은 또 “우리가 사격한 (북한)지역의 피해를 종합 분석하기 위해 정보자산을 운영하는데 아주 제한적”이라면서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지만 북측에 많은 피해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북한군의 통신시설도 상당한 피해를 입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리 군의 1차 대응사격 당시 무도기지에서 “엄청 얻어맞고 있다.”는 말이 감청된 이후 무선 통신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군이 감청을 우려해 무선 통신을 자제할 수도 있지만, 관련 시설이 포격 당해 통신이 마비됐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군은 앞서 북한군의 피해 상황과 관련, “K9 자주포가 곡사화기라는 점에서 갱도 안에 있는 북한의 해안포를 직접 타격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북한군 진지 막사와 통신시설, 보급로 등을 표적 사격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군은 또 북한군 수십명이 인명 피해를 입었을 것이라고 추정해 왔다. 이와 관련,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북한 내부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북한군도 적지 않은 인명 피해를 입었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또 “한국군의 대응사격 당시 북한군 소대장 1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이를 옮기는 과정에서 남측의 포격에 놀란 병사 3명이 소대장을 내버려둔 채 도주하다가 체포됐다는 소문이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K9 자주포는 사거리가 40㎞이며 분당 6발, 최대 15초에 3발을 쏠 수 있으며 가로·세로 각 50m, 2500㎡를 초토화시키는 위력을 지녔다. 1989년 개발에 착수한 뒤 10여년의 연구 개발 끝에 국방과학연구소(ADD)와 삼성테크윈에 의해 생산됐으며, 1999년 연평도에 처음 배치됐다. 북한군의 1차 공격을 방어하고 30㎞ 밖에 있는 적 부대까지 공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2010-11-27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