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버스토리-위기의 탈북자] 중국내 1만~2만여명…北 인접 동북3성에 많아

[커버스토리-위기의 탈북자] 중국내 1만~2만여명…北 인접 동북3성에 많아

입력 2012-02-25 00:00
업데이트 2012-02-25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50% 한국행 원해

●“2000년초 최대 수십만명… 지금은 진정세”

중국 내 탈북자 규모에 대한 정확한 통계는 없다. 다만 중국의 북한 전문가들은 중국 내 탈북자 수를 1만~2만명으로 추정한다. 중국 랴오닝 사회과학연구원 측도 중국 내 탈북자 수를 1만명 전후로 보고 있다. 양측 모두 탈북이 가장 활발했던 1990년대 말이나 2000년대 초의 경우 중국 내 탈북자 규모를 최대 수십만명으로 추산했으나 지금은 안정된 상태로 보고 있다. 한국 측은 이처럼 최근 몇년 새 탈북자 수가 줄어든 것은 중국에서 한국행을 원했던 탈북자 상당수가 이미 한국으로 들어갔거나, 현재도 일정한 숫자의 탈북자들이 한국으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중국 내 탈북자들이 어떤 사람들이고, 어디에 머물고 있는지 조사된 것도 거의 없다. 북한과 가깝고 조선족이 많이 사는 랴오닝(遼寧), 지린(吉林), 헤이룽장(黑龍江) 등 동북 3성에 많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제3국으로 이주 원하는 탈북자도

헤이룽장 지역의 한 조선족은 “중국에 있는 탈북자 가운데 중국에 머물길 바라는 사람은 많지 않다. 40~50%는 한국행을 원하고 나머지도 제3국으로 이주하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중국 동부 지역 농촌으로 팔려가는 북한 신부들이나 노동자들이 인간다운 삶을 살지 못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중국 내 9개 공관엔 탈북자 10명 안팎

다만 한국 공관 진입을 통해 한국으로 가려는 탈북자들이 줄어들고 있는 추세인 것만은 확실하다는 게 주중 한국영사관 측 설명이다. 그 이유는 중국 정부의 ‘전략적 판단’과 연관이 있다. 중국 정부는 탈북자들이 계속 중국으로 넘어오면 북한 체제가 흔들려 중국의 핵심 이익을 침해한다고 보고 있다.

최영삼 총영사는 “현재 중국 내 9개 공관에 머물고 있는 탈북자 수는 열 손가락 전후에 불과하다.”면서 “공관을 통해 한국으로 가려면 최소 2~3년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다른 루트를 통해 한국으로 들어가려는 탈북자들이 많아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중국 정부가 한국 공관은 물론 다른 나라 공관을 통해 한국행을 기도하는 탈북자들을 장기간 중국에 묶어 두는 방법으로 탈북자들을 억제하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한국행을 원할 경우 중국으로 넘어간 뒤 한국 공관을 거치지 않고 태국 등 동남아로 가는 탈북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北→中→동남아→한국’ 2만3000명 넘어

태국에서는 불법 체류자라는 사실이 확인되면 3개월 정도 구류를 산 뒤 원할 경우 한국으로 보내진다. 그런 방법으로 한국으로 온 탈북자 수는 2012년 1월 기준으로 이미 2만 3000명을 넘어섰다.

베이징 주현진특파원 jhj@seoul.co.kr
2012-02-25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