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층아파트·휴대전화…北 변화?…김정은 정권 후 쌀밥 구경 힘들어”

“고층아파트·휴대전화…北 변화?…김정은 정권 후 쌀밥 구경 힘들어”

입력 2012-10-15 00:00
업데이트 2012-10-15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LA타임스, 북중접경지역 北주민 민심 보도

김경옥(가명·52)씨는 요즘 버스를 타고 평양 시내로 들어갈 때마다 깜짝깜짝 놀란다. 고급 구두와 미니스커트를 입은 여성들, 새 고층아파트, 휴대전화로 수다를 떠는 사람들의 모습은 분명 얼마 전까지만 해도 1960년대의 칙칙함에 갇혀 있던 평양의 모습이 아니기 때문이다. 하지만 마음 한 구석은 편치 않다. 특권층에 속하는 그녀도 매일 쌀밥을 먹기는 힘든 형편이기 때문이다.

미국 로스앤젤레스타임스(LAT)는 14일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의 북한 접경 지역 르포 기사에서 “최근 북·중 국경을 오가는 북한 근로자들을 인터뷰한 결과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지금까지 북한의 변화는 표면적인 것일 뿐 대다수 주민들의 생활고는 더욱 심해졌다.”고 보도했다.

근무 특성상 중국과 평양을 오가는 김씨는 “평양에 더 많은 건축물이 지어지고 상품도 늘어났지만 생활 형편은 더 어려워졌다.”면서 “특히 쌀값이 연초에 비해 2배나 올랐다.”고 토로했다.

중국 벽돌 공장에서 일하는 또 다른 북한 주민(58)은 “북한 주민 1만명 중 1명 정도만 매일 쌀밥을 먹을 수 있는 형편”이라면서 “국영공장 근로자들 중에는 한 달에 1달러 미만의 월급을 받고 일한 사람도 있다.”고 폭로했다. 신문은 북한 군인들이 먹을 게 없어 부모들이 돈과 음식을 보내 주기도 한다는 주민들의 얘기도 전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후 북한 당국은 장마당(시장)에 대한 규제를 조금씩 없앴고 지난 4월에는 평양 시내 매점 영업을 허용했다. 박정숙(50)씨는 “주민들은 그(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가 젊은 만큼 개혁을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면서 “사람들이 모이기만 하면 북한이 개방해야 한다는 얘기를 한다.”고 말했다.

김씨는 (김정일의) 화폐 개혁 단행으로 기존 화폐가 휴지 조각이 된 것을 거론하며 “큰 아들 결혼할 때 아파트 사 주려고 모아둔 돈 1500달러가 하루아침에 날아갔다.”면서 “많은 사람이 화폐 개혁에 충격을 받고 심장마비로 죽었다.”고 말했다.

워싱턴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10-15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