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국제 김정일상’ 제정

北 ‘국제 김정일상’ 제정

입력 2012-12-25 00:00
업데이트 2012-12-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탄생 기념… 인류 발전·평화 기여자에 수여”

북한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인민군 최고사령관에 추대된 지 21주년을 맞아 ‘국제김정일상’을 제정했다. 북한은 1993년에도 국제 사회의 비아냥 속에서 ‘국제김일성상’을 제정한 바 있어 국제적 입지를 넓히고 3대 세습을 위한 우상화를 강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북한이 24일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인민군 최고사령관 추대 21주년을 맞아 ‘국제김정일상’을 제정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의 사진과 영문 이름을 새긴 국제김정일상 금메달(왼쪽부터)과 금메달띠, 트로피. 연합뉴스
북한이 24일 고(故)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인민군 최고사령관 추대 21주년을 맞아 ‘국제김정일상’을 제정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의 사진과 영문 이름을 새긴 국제김정일상 금메달(왼쪽부터)과 금메달띠, 트로피.
연합뉴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24일 “국제김정일상은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 동지의 탄생 기념일 광명성절을 계기로 나라와 민족의 자주성을 위한 투쟁, 온 세계의 자주화와 평화 위업 실현, 인류 문화 발전에 기여한 모든 나라의 인사들에게 수여하게 된다.”고 밝혔다. 통신에 따르면 수상자는 상장과 금메달, 컵을 받는다.

이 같은 북한의 움직임은 1993년 국제김일성상 제정 당시와 유사하다. 북한은 1992년 김일성 주석의 80회 생일을 계기로 주체 사상 보급에 공헌한 외국인들을 위한 ‘국제김일성상’을 제정하기로 결정하고 이듬해부터 상을 수여해 왔다. 국제김정일상도 마찬가지로 로켓 발사 등으로 국제적 고립이 심화되고 권력 승계기를 맞이한 북한이 친북 인사들을 섭외해 입지를 넓히고 대내적으로는 우상화에 활용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김정일도 김일성 같은 수령의 반열에 들었다는 것”이라면서 “선대 수령의 유지를 받든다는 의미도 있다.”고 밝혔다.

한편 김 제1위원장은 이날 0시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김일성·김정일 시신에 참배했다. 24일은 김 제1위원장의 조모 김정숙의 탄생 95주년이기도 해 북한 매체들은 22일과 23일 그의 공적을 소개하는 등 추모 열기를 고조시켰다.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12-12-25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