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억류 호주 선교사 보름 만에 석방

北억류 호주 선교사 보름 만에 석방

입력 2014-03-04 00:00
업데이트 2014-03-04 05: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쇼트 “범죄 인정” 사죄문 발표

북한에 억류됐던 호주 선교사가 추방 형식으로 보름여 만에 석방됐다. 현재 억류 중인 선교사 김정욱씨도 이 같은 방식으로 풀려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지만, 북한이 김씨를 체제선전으로 활용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석방이 쉽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적지 않다.

이미지 확대
호주 선교사 존 쇼트 연합뉴스
호주 선교사 존 쇼트
연합뉴스
조선중앙통신은 3일 자국에 억류 중이던 호주 선교사 존 쇼트(75)를 추방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보도 직후 쇼트는 평양에서 출발한 북한 고려항공 ‘JS151’편으로 베이징 서우두 공항에 도착했다. 입국 게이트로 나온 그는 하고 싶은 말을 묻는 취재진에 “할 말이 없다”고 말하는 등 구체적인 답변을 피했다.

쇼트는 관광객으로 북한에 입국했다가 김정일 생일인 광명성절에 평양의 불교 절간을 참관하다가 종교 선전물을 뿌렸다는 이유로 지난달 18일 체포됐다. 통신은 그가 자신의 행위를 범죄라고 인정하고 사죄해 “해당 기관에서 우리 공화국법의 관대성과 연령상 관계를 충분히 고려해 그를 공화국 경내에서 추방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통신은 또 쇼트의 사죄문도 함께 전했다.

쇼트가 비교적 빠른 시기에 추방 형식으로 풀려나면서 비슷한 혐의로 억류 중인 김씨 등 다른 선교사들의 석방도 같은 방식으로 이뤄질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하지만 쇼트가 관광 목적으로 합법적으로 입국한 반면, 김씨는 우리 정부에 입국신고도 하지 않고 북한에 들어갔다 억류됐다는 차이가 있다. 또 북한은 김씨가 국가정보원의 돈과 지시를 받고 ‘첩보 활동’을 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사안 자체가 본질적으로 다르다는 분석이 나온다.

더불어 각종 매체를 통해 이 사건에 분노하는 평양시민이나 근로자, 학생들의 모습을 전하는 북한 매체를 보면 이번 사건을 ‘사상전’에 활용하는 북한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북한은 또 김씨의 입국 경위와 접촉했다는 국정원 인사의 이름을 실명으로 보도하기도 했다. 지난달 25일 ‘사상일꾼대회’에서 유일영도체계 확립을 위한 사상 투쟁을 강조한 후 김씨 억류 사실을 사건 발생 4개월여 만에 공개한 것도 내부 단속을 위한 활용 측면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안석 기자 ccto@seoul.co.kr
2014-03-04 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