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네스 배 등 억류 미국인 3명 외신 인터뷰 허용

케네스 배 등 억류 미국인 3명 외신 인터뷰 허용

입력 2014-09-02 00:00
업데이트 2014-09-02 00: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 미국과 대화통로 재개 희망”

북한이 1일 CNN방송과 AP통신에 자신들이 억류해 온 미국인 케네스 배(왼쪽·46)와 매튜 토드 밀러(가운데·24), 제프리 에드워드 파울(오른쪽·56)을 인터뷰하도록 허용했다.

배씨는 인터뷰에서 “지난 1년 6개월 동안 특별교화소와 병원을 오갔다”며 교화소에서 “하루 8시간, 1주일에 6일을 농사나 다른 종류의 중노동을 한다”고 밝혔다. 그는 “인도적 대우를 받느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배씨는 가족들에게 “계속 나를 위해 기도해 주고 풀려 나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배씨는 또 “교화소에는 나 혼자뿐이었으며 20~30명의 간수가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배씨는 종교활동을 통한 정부 전복 혐의를 받고 2012년 11월 붙잡혀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았다.

밀러는 인터뷰에서 “미국 정부가 강력한 시민 보호 정책을 펴지만 내 경우에는 아무런 움직임이 없었다”며 “나는 곧 재판을 받을 예정이고 이 인터뷰가 내겐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파울은 “지금까지는 (상황이) 좋았다”며 “여기 이틀 더 있든 20년 더 있든 이런 상황이 계속되기를 바라고 기도한다”고 말했다.

CNN의 윌 리플리 기자는 “북한의 초청을 받아 평양에 들렀다가 점심시간에 연락을 받고 어딘가로 이동했다”며 “고위 당국자와 만나는 줄 알았는데 도착해서야 미국인들을 만나게 됐다는 걸 알았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북한이 미국과의 대화 통로를 재개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이번 인터뷰가 성사된 것 같다”고 밝혔다.

AP도 “3명 모두 미국 정부에 고위급 특사 파견을 요청했다”면서 이는 전형적인 북한의 협상 전술이라고 해석했다. 북한이 억류 미국인의 입을 빌려 미국에 특사 파견을 요구했다는 것이다. 인터뷰에는 북한 관리들이 배석했지만, 질문을 사전에 검열하지는 않았다.

이창구 기자 window2@seoul.co.kr
2014-09-02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