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렁이는 대선 구도… 15·17대 선거 함께 보는 듯

출렁이는 대선 구도… 15·17대 선거 함께 보는 듯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17-04-28 18:22
업데이트 2017-04-28 1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보수 분열… DJ·이회창·이인제 3파전과 흡사
지지율은 MB·정동영·이회창·문국현 대결 닮아


5·9 대선 구도가 하루가 멀다 하고 변화무쌍하게 바뀌고 있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와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간 ‘양강 구도’가 형성됐을 때에는 노무현 전 대통령과 이회창 전 한나라당 총재가 팽팽하게 맞붙은 2002년 16대 대선처럼 흐를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안 후보의 지지율이 일주일여 만에 급속도로 빠지면서 1997년 15대 대선과 2007년 17대 대선 구도가 새삼 주목받고 있다.

현재 대결 구도는 ‘보수 분열’로 흐르고 있다. 진보 표심은 문 후보를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고, 보수 표심은 안 후보와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로 양분된 것으로 나타난다. 안 후보가 보수 정당의 후보는 아니지만, 반문(반문재인) 성향의 보수 표심이 ‘대안론’에 따라 안 후보에게 가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런 구도는 보수표 분열로 김대중(DJ) 전 대통령이 당선된 1997년 대선과 매우 흡사하다. 당시 이인제 후보가 한나라당 대선 경선 결과에 불복해 탈당한 뒤 출마하면서 이회창 한나라당 후보는 DJ에 1.6% 포인트 차이로 석패했다. 당시 득표율은 ‘DJ 40.3%, 이회창 38.7%, 이인제 19.2%’였다.

그러나 후보들의 현 지지율만 놓고 보면 ‘이명박(MB) 대세론’이 제기된 2007년 대선과 더 닮아 있다. 당시 이명박 후보가 48.7%, 정동영 후보가 26.1%, 이회창 후보가 15.1%, 문국현 후보가 5.8%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여론조사에서 ‘부동층’ 응답률이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40% 안팎의 문 후보는 MB, 20%대 초반까지 떨어진 안 후보는 정동영 후보, 15%에 근접해 가는 홍 후보는 이회창 후보와 거의 일치한다.

물론 이런 구도가 선거 당일까지 유지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현 지지율 추세대로라면 홍 후보가 상승세를 타는 분위기이지만, 안 후보 역시 ‘김종인 카드’로 반등을 노리고 있기 때문에 최종 결과를 속단하긴 이른 상황이다. 선거 막판 보수·중도 후보 단일화가 이뤄질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 있다.

홍 후보와 안 후보 측은 ‘대역전극’을 노리고 있다. 홍 후보 측 핵심 관계자는 28일 “안 후보가 15%를 얻고, 군소 후보가 5%를 가져간다고 보면 결국 나머지 80%를 놓고 문 후보와 홍 후보가 다투는 구도가 될 것”이라며 “40% 득표율이 매직넘버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안 후보 측은 “홍 후보가 아닌 안 후보와 문 후보가 80%를 놓고 싸우는 구도가 될 것”이라고 맞서고 있다.

이영준 기자 apple@seoul.co.kr
2017-04-29 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