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정부 출범 1년(상)] 수도권·영남출신 59%… 서울대 19명 최다… 관료 출신 50대 주류

[박근혜정부 출범 1년(상)] 수도권·영남출신 59%… 서울대 19명 최다… 관료 출신 50대 주류

입력 2014-02-21 00:00
업데이트 2014-02-21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1급이상 54명 분석

1주년을 맞는 ‘박근혜 청와대’의 1급 비서관급 이상 참모진에는 수도권 또는 영남 출신과 이른바 스카이(SKY·서울대, 고려대, 연세대) 졸업자, 고시에 합격한 관료 출신의 50대 중반 인사가 주류를 이뤘다. 이는 서울신문이 박근혜 정부 출범 6개월 때 실시했던 조사내용과 거의 차이가 없었다. 경호실을 제외하고 1급 이상(경호실장은 포함)은 54명으로 2명이 늘어난 정도이고, 교체된 자리 7개가 대개 비슷한 나이로 유사한 영역에서 채워졌기 때문이다. 국가안전보장회의의 신설로 수석급과 비서관급이 한명씩 늘었다.

이미지 확대
평균 나이는 54.5세로, 6개월 전의 53.7세보다 0.8세 올라갔다. 해가 바뀌어 나이를 먹으며 늘어난 ‘자연증가분’인 셈이다. 비서관급 41명 중에서는 40대가 6명, 60대가 2명이었다. 이 8명을 제외한 33명은 50대였다. 수석급 10명은 50대가 4명, 60대가 6명이다.

지역별로는 서울 12명, 경기·경남 각 5명, 충북·충남·강원·광주 각 4명, 경북·대구·부산 각 3명, 전북·전남·대전 각 2명, 인천 1명 등이다. 권역별로 묶으면 서울 등 수도권은 18명(33.3%), 영남 14명(25.9%), 충청 10명(18.5%), 호남 8명(14.8%), 강원 4명(7.4%) 등이었으며 제주 출신은 없었다.

비서관급 이상을 2명 이상 배출한 고교는 경기고 4명, 대전고·광주일고 각 3명, 충남고·용산고·대구성광고·경복고 각 2명 등이다. 대학으로는 서울대 19명, 경북대·한양대 각 4명, 연세대·성균관대 각 3명, 고려대·육사·한국외대·이화여대·동국대 등이 각 2명이다. 지방대 출신 6명 중에서는 경북대가 4명이다. 전공으로는 법학이 12명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경제학 6명, 행정학 4명, 정치외교학·경영학 각 3명, 영문학·산업공학·사회학 각 2명 등이다.

공직 입문 경로는 행시 16명, 외시 6명, 사시 4명, 기술고시 2명 등이었고 정치인 출신이 9명이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2014-02-21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