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 조건은 日 진정성”… 또 강조한 靑

“대화 조건은 日 진정성”… 또 강조한 靑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02: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화하지 않을 이유없다” 언급

청와대는 네덜란드 헤이그 핵안보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또는 한·미·일 정상 간 회동이 이뤄질 가능성에 대해 17일 “일본이 진정성 있는 모습을 보여 건설적 대화가 가능한 여건이 조성되면 우리로서는 대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나 “구체적으로 결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면서도 “우리 정부는 양국 정상 간 생산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대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생산적 대화 여건을 위해서는 일본이 역사문제와 과거사 현안 등에 대해 진정성 있는 조치를 조속히 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현재로선 글로벌 리더 격인 미국의 중재 형식으로 한·미·일 3자 회동 정도로 가닥이 잡히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대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이날 청와대의 표현에는 분분한 해석이 제기되는 가운데 “원론적이긴 하지만, 지금까지의 한·일 간 상황 전개를 감안할 때 상당히 전향적인 자세로 해석할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되면서 이날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일본 기자를 비롯한 외신들의 전화가 폭주하기도 했다.

청와대와 정부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취하고 있다. 청와대의 한 인사는 “대통령이 ‘평가’라는 단어를 쓰지 않고 ‘다행’이라는 표현을 쓴 점을 주목해야 한다”면서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복수의 정부 관계자는 “회동이든 회담이든 기본적인 의제가 준비되어야 하지만 아직은 이에 대한 내부 논의도 없다”고 전했다.

정부 안팎에서는 아베 신조(오른쪽) 총리의 발언만으로는 대화 여건이 조성됐다고 보기에 무리가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한편에서는 핵안보정상회의 다음 날인 26일 일본 초등학교 교과서 검증 결과의 발표도 부담스러워하고 있다. ‘독도 영유권’ 주장이 강화되는 등 국수주의 성향이 짙어졌을 때는 박근혜(왼쪽) 대통령이 정치적 타격을 받을 수 있다. 정부의 한 인사는 “‘대화하지 않을 이유가 없다’는 언급은 공을 일본으로 다시 넘긴 것으로 봐야 하며, 정부는 주중 일본의 반응을 살피게 될 것”이라는 관측도 내놓았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4-03-18 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