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경선 바라보는 친박·靑의 속내는

서울시장 경선 바라보는 친박·靑의 속내는

입력 2014-03-18 00:00
업데이트 2014-03-18 01: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차기 대권주자 부상 긴장…국정 운영 부담 될까 우려

청와대와 친박근혜계가 6·4 지방선거를 ‘차기 대선 주자의 등장’이라는 측면에서도 바라보고 있다. 이번에 선출되는 주요 지역의 광역단체장들이 잠재적 차기 후보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어서다. 여야를 통틀어 50~60대 주요 정치인들이 이번에 대거 광역단체장 선거에 나섬으로써 2017년 대선이 일찌감치 국민들의 관심사로 등장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이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곳은 물론 서울이다. 이곳에서의 승자는 누가 뭐래도 가장 강력한 차기 후보로 부상할 전망이다.

그러나 이런 점은 여권 주류인 친박으로서는 반기기 어려운 대목이다. 안정적 국정 운영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야 할 집권 2년차에 차기 주자의 등장은 자칫 조기 레임덕을 자초하는 일이 될 수 있어서다. ‘친박계의 김황식 지원설’이 빠르게 확산됐던 것도 이런 배경에서다. 이미 두 차례 대권 경선에 도전했고 한 차례 박근혜 대통령과 격돌했던 정몽준 의원을 친박계가 환영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분석에서다.

한 친박계 재선 의원은 지난 16일 “김황식 전 총리가 전 정부 인사라 하더라도 한때 대권 주자이자 지난 대선 때 여당 후보 자리를 놓고 경쟁했던 비주류 정몽준 의원보다는 여권 입장에서 훨씬 편안한 인물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또 다른 친박계 초선 의원도 “본인은 대권 포기 의사를 밝혔지만 정 의원이 시장에 당선된다면 강력한 차기 대권 주자로 떠오를 수밖에 없고 청와대도 이런 점을 내다보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으로는 친박 지원설이 점차 사그라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여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정·김 두 유력 후보가 경선 출마를 공식화하고 본격 레이스를 시작하면서부터는 소리 없이 누구를 지원한다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할뿐더러 어설픈 지원은 부작용만 낳기 쉽다”면서 “이제부터는 유력 후보 간의 자력에 의한 생존 경쟁이 승부를 좌우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저런 분석과 전망이 나돌던 이전과는 달리 최근 청와대에서 “이기는 편이 우리 편”이라는 언급이 늘어 가고 있는 것도 이런 분위기를 반영한다. “제1 고려 대상은 승리이고 아무리 반박(反朴)계 인사라도 야당 인사보다는 백배 낫다”는 게 친박계의 진단이다.

이지운 기자 jj@seoul.co.kr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4-03-18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