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2주년 대담] “조국에 정치 권유할 생각 없어… 본인이 판단할 문제”

[文대통령 2주년 대담] “조국에 정치 권유할 생각 없어… 본인이 판단할 문제”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5-09 23:08
업데이트 2019-05-10 0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靑 참모·인사실패 논란

“인사청문, 도덕성·역량 2단계 검증을”

문재인 대통령은 9일 KBS 대담에서 여권을 중심으로 내년 총선 차출설이 끊임없이 제기되는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의 거취에 대해 “조 수석이 정치에 나갈 것이냐는 것(질문)이라면 저는 정치를 권유할 생각은 전혀 없다. 그 여부는 전적으로 본인이 판단할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민정수석의 중요한 책무가 인사 검증뿐 아니라 권력기관 개혁이다. 정부 차원에서 할 수 있는 개혁은 상당히 했다고 생각하지만, 법제화하는 과정이 남아 있는데 그런 작업까지 성공적으로 마쳐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국회에서 신속처리법안(패스트트랙)으로 지정된 검경 수사권 조정안 등이 법제화될 때까지 조 수석이 역할을 하도록 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인사 실패 논란에 대해서는 “국민 눈높이에 맞지 않는 부분에 대해선 인정하며 검증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라면서 “청와대 검증부터 청문회까지 하나의 검증 과정이다. 검증에서 밝혀내지 못한 부분이 있었다고 ‘검증 실패다, 책임져야 한다’고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도덕성-능력을 2단계로 검증하는 미국 방식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총선을 앞둔 개각에 대해서는 “특별히 시기를 생각한 것은 없다”면서도 “총리·장관들 본인 의사에 달린 것이고 선거에 나갈 생각이 있다면 임박해서가 아니라 충분한 여유를 두고 의사를 밝히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했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5-10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