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백명현교수팀, 배출가스 중 CO2 선별포집 물질 개발

서울대 백명현교수팀, 배출가스 중 CO2 선별포집 물질 개발

입력 2010-03-15 00:00
업데이트 2010-03-15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장 등에서 배출되는 가스 가운데 이산화탄소(CO2)만 선택적으로 가둬서 추출할 수 있는 물질이 개발됐다. 기존에 개발된 CO2포집법들에 비해 에너지를 적게 쓸 수 있어 주목받고 있다.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교수가 이끄는 초분자나노재료연구팀은 입체적인 구멍을 만들어 CO2를 선별적으로 가둘 수 있는 다공성 배위고분자 화합물(CPN)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CPN은 유기물이나 무기물을 선택적으로 흡착하는 데 사용되는데 일부는 많은 양의 CO2를 흡수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연구팀은 관련 논문을 지난해 8월 화학 분야 저널인 ‘안게반테 케미’에 실었다.

최근 CO2를 포집하는 물질을 가루 형태로 소량 합성하는 데 성공한 연구팀은 CO2를 고정하는 데 드는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실용화 단계에 있는 기존물질들이 CO2를 잡았다가 놓기 위해 고온의 열을 받아야 하는 등 많은 에너지를 쓰는 것에 비해, 이번에 개발한 물질은 기압차에 따라 스스로 잡아 두었던 CO2를 떼어내는 원리가 적용되기 때문이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0-03-15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