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욕심으로 뒤틀린 행복의 가치를 제자리로”

“욕심으로 뒤틀린 행복의 가치를 제자리로”

입력 2010-03-23 00:00
업데이트 2010-03-23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월간 ‘샘터’ 40돌… 법정·이해인·정채봉·최인호 등 칼럼 연재

법정(法頂), 이해인, 정채봉, 최인호, 장영희….

이들의 공통점은 한 시대를 풍미했던 잘 나가는 작가들이라는 사실이다. 또한 돈과 출세, 명예의 욕망에 사로잡혀 앞만 보며 허덕거리던 평범한 우리네 삶들의 자리를 제 위치로 돌려놓아주곤 했던 영혼의 스승들이라는 점이다. 여기에 또 하나의 공통점이 있다. 새달 40주년을 맞는 ‘월간 샘터’의 간판 칼럼니스트들이라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월간 샘터 40년 역사의 시작을 기억하는 창간호 표지(왼쪽)와 그동안 표지를 모두 모아놓은 40주년 기념호 표지(오른쪽).  샘터 제공
월간 샘터 40년 역사의 시작을 기억하는 창간호 표지(왼쪽)와 그동안 표지를 모두 모아놓은 40주년 기념호 표지(오른쪽).
샘터 제공


‘평범한 사람들끼리 모여 가벼운 마음으로 행복의 길을 찾아보자.’며 1970년 4월 문고판형으로 창간한 월간 샘터는 지난 40년 동안 단 한 차례도 빠짐없이 발행돼 왔다. 올해 4월호로 482호를 맞았다.

지난 11일 입적한 법정 스님은 1979년 9월부터 1980년 4월까지 ‘고사순례(古寺巡禮)’를, 1980년부터 1996년까지는 ‘산방한담(山房閑談)’을 연재했다. 시인인 이해인 수녀 역시 1984년 6월 ‘두레박’ 연재를 시작으로 11년 동안 ‘시인의 숲속’, ‘꽃삽’, ‘해인의 뜨락’ 등 다양한 칼럼을 연재한 데 이어 지난 1월부터 ‘해인 수녀의 고운 말 차림표’를 다시 연재하고 있다. 고(故) 장영희 서강대 교수는 ‘새벽 창가에서’를 4년 6개월 동안, 고 정채봉 작가는 14년 남짓 동안 ‘생각하는 동화’와 ‘이솝의 생각’을 연재했다.

소설가 최인호는 1975년 9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34년(402회)에 걸쳐 연작소설 ‘가족’을 선보여 국내 잡지사상 최장기 연재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작가들의 가르침은 한결같았다. 경쟁과 욕심으로 뒤틀린 행복의 가치를 다시 본연의 것으로 돌려세우자는 것이다.

이는 출판사의 변화도 이끌었다. ‘샘터’는 2005년부터 정기구독료의 1%와 샘터사 모든 책 인세의 1%를 아름다운재단에 기부하기 시작했다.

또한 월간지마다 독서 장애인을 위한 음성 인식 바코드를 넣어 ‘샘터 가치’를 공유하고 있다. 역대 표지 481개를 한데 모아 40주년 기념호 표지로 꾸몄으며, 다음달 11일까지 샘터 표지 그림작가 40명이 참여한 ‘책과 작가가 만나다’ 전을 서울 대학로 샘터갤리리에서 연다.

창간인 김재순씨는 40주년 기념호에서 “평범한 소망에서 출발한 샘터에는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매달 써내려오는 신조(信條)로서 거짓 없이 인생을 걸어가려는 모든 사람에게 정다운 벗이 될 것이라는 다짐이 있다.”며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와 별개로 거짓 없이 인생을 걸어가는 사람의 말이나 글에는 감동이 있다.”고 말했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3-23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