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서 만든 ‘맞춤뼈’ 이식 시대 열리나

연구실서 만든 ‘맞춤뼈’ 이식 시대 열리나

입력 2010-03-29 00:00
업데이트 2010-03-29 09:5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국의 한 연구팀이 성공적인 뼈 이식술의 핵심 요소인 기존 뼈와 해부학적으로 동일한 구조의 뼈를 만들어냈다고 인터내셔널 헤럴드트리뷴(IHT)이 29일 보도했다.

 조다나 번약-노바코빅 컬럼비아대 생체의학공학과 교수팀은 연구실에서 인체 줄기세포로 2개의 턱 관절 부분 뼈를 만들어 영양분을 공급해 키우는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관절의 디지털 이미지를 이용해 뼈의 입체 모형을 만들고 뼈와 똑같은 모양으로 제작된 생체반응기에 넣은 뒤 그 속에 골수나 인체 지방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넣었다.

 여기에 지속적으로 산소와 성장호르몬,당,다른 영양분 등을 공급해 생체반응기 안에서 뼈가 자랄 수 있도록 했다.

 이렇게 연구실에서 만들어진 뼈는 뼈 이식수술에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들을 해결해 줄 것으로 전문가들은 기대하고 있다.

 이번 연구와 무관한 컬럼비아대 정형외과 교수 프랜시스 리에 따르면 기존 뼈 이식 수술에서는 주로 인체의 다른 부위에서 채취한 뼈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여기에는 상당한 고통이 뒤따르기 일쑤였다.

 또 티타늄으로 제작된 인공 뼈를 이용할 경우 인체 내 다른 뼈와 맞지 않는 경우가 많고 이식 부위에 염증이 생기는 부작용도 감수해야 했다.

 리 교수는 기존 뼈 구조와 해부학적으로 일치하는 뼈 세포의 숙주만 있다면 “뼈와 연골결손을 복원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게 될 것”이라고 연구결과의 의미를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특허출원을 한 상태이며 투자자들 사이에서도 많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그러나 번약-노바코빅은 “우리는 몸집이 큰 동물들을 대상으로 실험을 시작해 연구결과의 상업화에 앞서 안전성과 실용성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