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이후] “선체탐색은 70~80% 완료… 진입 굉장히 힘들다”

[천안함 침몰 이후] “선체탐색은 70~80% 완료… 진입 굉장히 힘들다”

입력 2010-03-31 00:00
업데이트 2010-03-31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해난구조대 송무진 중령

해난구조대(SSU) 전문장교인 송무진 중령은 30일 초계함 함미(艦尾)에 대한 구조작업과 관련, “침몰 선체 탐색 작업은 70~80% 완료됐으나 선체 진입 작업이 굉장히 힘들다.”고 밝혔다.

이미지 확대


평택함 구조부장을 지낸 송 중령은 국방부 청사에서 진행된 브리핑을 통해 “서해는 전 세계에서 세 번째로 조류가 빨라 구조작업이 다른 곳과 많이 다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구조작업 해역의 조류가 3~4노트에 이른다. 이는 태풍이 부는 빌딩 위에 혼자 서 있는 느낌이다.”면서 “수중은 대기보다 14배의 저항이 있는 만큼 인도색(잠수용 밧줄)을 통해 이동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송 중령은 이어 “구조작업 단계는 ‘선체탐색→공기 주입→출입구 확보→생존자 확인’으로, 1단계인 선체탐색은 70~80% 완료됐다.”고 밝혔다.

송 중령은 “선체내 밀폐된 공간에는 공기를 집어넣을 수 없지만 노출된 부분에는 공기가 들어갈 수 있다.”면서 “기관실 내에 생존자가 있을 가능성을 고려하면 지속적으로 공기를 주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출입구 확보 작업에 대해 “함미 선체가 옆으로 누워 있고, 물속에서 손전등으로 비춰도 시계는 30㎝에 불과하다.”면서 “생명줄과 로프로 묶어 가까운 길로 들어간다고 해도 함미 기관부까지는 격실문 서너 개를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위험한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송 중령은 잠수사의 작업 여건과 관련, “심해 잠수를 하려면 우주복 같은 복장을 갖춘 헬멧 잠수를 해야 하지만 이를 준비하는 데 사나흘이 소요된다.”면서 “현재 안전규정을 어기고 스쿠버 잠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잠수시간도 10분 이상 했을 때 자가치료 개념인 감압 과정을 거치면서 해상으로 올라와야 한다.”면서 “들어가고 나오는 시간을 감안해도 최대 15분 잠수에 작업시간은 7~8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 [사진] 실낱같은 희망이라도…천안함 침몰 그후
2010-03-31 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