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침몰 이후] 민간 주도… 6일부터 선체 쇠줄연결 등 5단계 진행

[천안함 침몰 이후] 민간 주도… 6일부터 선체 쇠줄연결 등 5단계 진행

입력 2010-04-05 00:00
업데이트 2010-04-05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선체인양 본격화… 절차 어떻게

천안함 선체 인양작업은 민간 구조·구난 전문업체가 주체가 되고 해군이 지원하는 형식으로 이뤄진다.

☞[사진]천안함 수색작업 중단…인양 준비

현재 사고 해역에는 삼호 I&D의 2200t급 해상 크레인 ‘삼아 2200호’가 이미 도착해 있으며, 대우조선해양의 해상크레인 ‘대우 3600호’도 9일부터 가세한다. 이 크레인은 길이 110m, 폭 46m, 무게 1만 2500t으로 최대 3600t까지 인양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다.

이미지 확대
●지질상태 등 2~3일간 사전조사

이 두 크레인이 각각 함수(艦首)와 함미(艦尾)를 인양하는 형태로 작업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업계 전문가들은 “선체에 물이 차 있더라도 함미와 함수의 무게가 각각 2000t을 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인양작업을 위해 민간업체의 해상 크레인이 동원되는 것은 군이 대형 크레인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 크레인의 하루 대여비용은 1억 2000만원 안팎이다.

이미지 확대
인양에 앞서 잠수사들이 수중으로 들어가 선체의 침몰 상태와 지질 상태 등을 확인해 어떤 방법으로 인양에 나설지 결정한다. 또 선체의 무게중심을 찾는 데 필요한 함체 길이와 엔진 위치, 바다 바닥의 지형 등을 파악하는 작업을 한다.

잠수사들의 조사과정은 2~3일 정도 걸린다. 현재 거론되고 있는 인양 방법은 크게 두 가지다.

하나는 크레인으로 선체를 바로 끌어올려 바지선에 옮기는 방법이다. 이를 위해서는 선체에 쇠사슬을 감아야 한다. 두 동강이 났지만 1200t급에 달하는 천안함의 크기를 감안하면 쇠줄의 길이만 수백 미터에 달한다. 선체 아래에 에어펌프로 쇠줄이 지나갈 터널을 뚫은 뒤 선체를 감는다. 이어 크레인을 당겨 엎어져 있거나 옆으로 누워 있는 선체를 똑바로 세운 뒤 인양한다.

지난 1993년 여객선 서해훼리호의 경우도 쇠사슬을 아래로 넣어 인양하는 작업이 이용됐다. 하지만 수면 상으로 올려졌던 훼리호는 기상악화로 와이어로프가 절단돼 다시 침몰했으며 10일 뒤에야 재인양에 성공했다.

●공기주머니로 선체 띄울 수도

다른 하나는 공기 주머니(리프트백)를 이용해 선체를 들어올린 뒤 크레인으로 끌어올리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을 택할 경우 잠수사들이 물속에 내려가 천안함 측면에 리프트백을 설치하고 천안함의 격실을 모두 밀폐한 뒤 설치된 리프트백에 공기를 주입하게 된다. 천안함이 부력으로 수면 위에 떠오르게 되면 이를 크레인으로 끌어올려 옮기는 방식이다.

어떤 방식이든 수작업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어려운 작업이다. 기상과 해상 상황이 관건이다. 해군은 지난 2002년 연평도 근해에서 발생한 제2차 연평해전에서 격침된 130t급 고속정 참수리 357호를 인양작업 17일 만에 물 밖으로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천안함(1200t급)은 두 동강이 났지만 그보다 훨씬 무겁기 때문에 최소 한 달 이상 걸릴 것이란 전망이 많다.

●130t급 참수리호 17일 걸려

하지만 물살이 가장 느린 ‘조금’이 7일인데, 이 즈음을 최대한 활용하면 인양작업이 상당히 빨라질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해군 관계자는 “최상의 시나리오가 된다면 작업 시작 후 7일이면 인양이 가능하다.”면서 “하지만 조금을 지나 다시 물살이 빨라지는 ‘사리’가 오고 기상상태가 악화되면 조건이 맞을 때까지 기다려야 해 30일 이상 인양작업이 지체될 수도 있다.”고 했다.

4일 인양계획 수립에 들어갔고 6일부터 본격적으로 선체를 묶는 작업이 시작돼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다음 주쯤이면 물 위로 들어올려진 선체를 볼 수 있다는 얘기다. 하지만 작업이 제대로 되지 않는다면 다음달까지 인양작업이 길어질 수도 있다.

특히 서해훼리호처럼 선체를 들어올리다 줄이 끊어질 경우 처음부터 작업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오상도 오이석기자 hot@seoul.co.kr
2010-04-05 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