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하루 9시간 책상서 보내

중학생 하루 9시간 책상서 보내

입력 2010-05-05 00:00
업데이트 2010-05-05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10년 통계로 본 일상

# 중학생 ‘대한’이는 하루 9시간 4분을 책상에서 보낸다. 고교생인 형 ‘민국’이가 하루 10시간 47분이나 공부에 매달리는 데 비하면 좀 낫다. 인터넷은 대한이의 가장 좋은 친구다. 하루 1차례 이상은 접속하고 주 평균 10시간 이상 쓴다. 요즘 고민은 뭐니뭐니해도 성적이다. 물론 외모도 못지않게 신경이 쓰인다. 장래 희망은 그날그날 다르다. 다만 적성·흥미만큼이나 월급도 넉넉하고 안정성 있는 직업을 꿈꾼다.

이미지 확대


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 청소년통계’로 재구성한 평균적 중학생의 일상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15~19세 청소년의 가장 큰 고민은 역시 공부였다. 2002년에는 48.9%, 2008년에 57.5%로 가장 많았다. 다만 2002년 조사에서는 공부 다음으로 외모·건강(18.4%), 가정환경(6.8%), 이성교제(5.5%), 직업(5.2%) 순이었지만, 2008년에는 공부와 외모·건강(15.8%)에 이어 직업(9.2%)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또한 직업선택의 요인으로는 적성·흥미(32.7%)를 가장 중시했지만 수입(23.1%)이나 안정성(17.9%)도 중요하게 생각했다.

지난해 하루 1회 이상 인터넷을 이용한 10대는 96.7%로 전년보다 11.2%포인트 증가했다. 주 평균 이용시간은 10.8시간으로 0.4시간 늘었다. 개인 블로그를 가진 비율은 고교생이 79.1%, 중학생은 74.1%, 초등학생은 29.4%였다. 인터넷쇼핑 이용률과 월평균 구매액은 고교생이 70.9%와 2만 4000원, 중학생은 58.8%와 2만 5000원으로 나타났다.

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2010-05-05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