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이 속한 현실 의심할 줄 알았으면”

“자신이 속한 현실 의심할 줄 알았으면”

입력 2010-05-18 00:00
업데이트 2010-05-18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비청소년문학상 수상작 ‘싱커’ 펴낸 배미주씨

“과학자의 전문적인 감수도 받고 싶었는데, 아는 사람이 없어서 그냥 냈죠, 뭐.”라며 배시시 웃는 배미주(41)씨의 첫 장편소설 ‘싱커(창비 펴냄)’는 ‘미래 공상과학(SF) 소설’을 표방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소설가 배미주
소설가 배미주
17일 서울 무교동 한 음식점에서 기자들과 만난 배씨는 “최대한 과학적 지식에 근거해서 소설을 쓰려고 SF소설이나 과학 관련 책을 많이 읽었어요. 그래도 소설이니까 문학적 상상력이 허용하는 부분에 비중을 더 뒀지만요.”라고 자신의 새 작품에 대한 애착을 드러냈다. ‘싱커’는 ‘완득이’, ‘위저드 베이커리’에 이어 지난해말 제3회 창비청소년문학상을 받은 작품으로 최근 출간됐다.

소설은 인류의 미래에 대한 디스토피아적 묵시록에 가깝다. 인간들은 2060년대 지표면이 빙하로 뒤덮인 시절, 지하도시 ‘시안’에서 생활한다. 거대한 과학문명 메커니즘에 의해 움직이는 이 도시에서는 여전히-혹은 당연히, 계급·계층의 양극화가 심각해진다. ‘싱커(Syncher·동조자)’라는 새로 개발된 게임은 접속하는 이들에게 ‘반려수(伴侶獸)’로 통하는 동물의 뇌파와 감각, 의식 등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들은 이러한 경험을 통해 경이롭고 생명력 넘치는 아마존의 세계를 체득하고 인류를 파멸로 몰고 간 음모의 실체를 향해 접근해 나간다. 그러면서 아이들은 한 뼘, 한 뼘씩 성장한다.

가만히 소설을 읽다보면 올초 전 세계를 휩쓴 영화 ‘아바타’가 떠오른다. 배씨는 “2년 전에 구상하고 아바타가 나오기 전에 원고를 출판사에 넘긴 만큼 표절 시비에서는 자유롭다.”면서도 아바타가 구대륙의 신문명이 신대륙의 자연과 생명을 파괴하고 정복하는 것에 대한 경고를 담았다면, 자신의 작품은 좀 더 SF적이라고 조목조목 설명한다. “단순히 장르 소설로만 읽기보다는 의심과 상상, 전복, 탈주 등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인식론적인 부분을 주목했으면 좋겠다.”라는 주문도 빠뜨리지 않는다.

그는 “이 지하도시는 우리가 겪고 있는 현실과도 일맥상통한다.”며 “우리 청소년들이 몸담고 있는 현실을 의심할 줄 알았으면 좋겠다.”고 당부했다. 사회가 설정해놓은 목표를 좇아 사는 것이 아니라 그 틀을 벗어나 의심하고 상상할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을 길렀으면 좋겠다는 주문이다.

박록삼기자 youngtan@seoul.co.kr
2010-05-18 2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