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올림픽 선수들 고통 덜어주고 싶어”

“장애인올림픽 선수들 고통 덜어주고 싶어”

입력 2010-05-22 00:00
업데이트 2010-05-22 00: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후원금 3000만원 낸 박상헌 ‘한국청과’ 사장

‘따르릉’ 대한장애인체육회 사무실 전화벨이 울렸다. 오전 업무를 시작한 직후였다. “선수들 비행기표 값을 보태고 싶습니다. 3000만원을 보내려고 하는데 계좌번호를 좀 알려주시죠.” 장애인체육회 이현옥 부장은 깜짝 놀랐다. 전날 밤 술자리에서 한 사람이 “아는 분이 장애인 선수들을 돕고 싶어 하더라. 어떡하면 되느냐.”고 했다. 그래서 “그럼 사무실 번호를 알려주시라.”고 답했다. 그러곤 잊었다. 술자리에서 흔히 오가는 실없는 얘기쯤으로 생각했다. 전화를 받고서야 깨달았다. “농담이 아니었구나….” 지난 3월3일이었다. 캐나다 밴쿠버 장애인올림픽이 열리기 딱 10일 전 일이다.

이미지 확대
박상헌  ‘한국청과’ 사장
박상헌 ‘한국청과’ 사장
전화를 건 사람은 서울 가락동 청과시장의 한국청과㈜ 박상헌(45) 사장이었다. “예전에 봤던 기사가 생각나서 도울 방법을 찾고 있었다.”고 했다.

●“직항노선 비행기값 보태주세요”

4년 전 아테네 장애인올림픽 때 기억이 가슴에 남아서다. 당시 장애인 대표선수들은 직항 노선이 없어 제3국을 경유해 대회장소까지 갔다. 영국 히스로 공항에서 10시간 가까이 대기했다. 몸 불편한 선수들은 제대로 앉아 있기도 힘들어 파김치처럼 늘어졌다. 비장애인 선수들은 전세기로 아테네에 직행했지만 장애인 선수들에겐 먼나라 얘기였다.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별은 대표선수들에게도 마찬가지였다.

박 사장은 “비행기표 값을 보태고 싶다. 꼭 돌아가지 않고 편한 자리에 앉아 가게 해 달라.”고 했다. 사실 당시 장애인 선수단 비행기표 발권은 이미 끝난 상태였다. 밴쿠버는 일반 비행기도 직항노선이 있어 이번에는 장애인 선수단도 경유할 필요가 없었다.

이 부장이 사정을 설명하자 “그럼 대회 기간 선수들이 잘 지내도록 꼭 필요한 데 써달라.”고 했다. “밴쿠버에서 따뜻한 거 입고, 맛있는 거 먹고, 관광도 다니고 그렇게 써달라.”고도 했다. 다만 조건을 하나 붙였다. “대신 아껴쓰지 말고 무조건 선수들이 다 쓰고 올 수 있도록만 약속해 달라.”고 했다. 이 부장은 웃었다. “그런 건 어렵지 않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도울 생각”

이 부장은 “이번에 많이 놀랐다.”고 말했다. 장애인 선수단은 후원 얻기가 힘들다. 홍보 효과도 없고 이름 알리기도 쉽지 않아서다. 그는 “문전박대 당하고 앵벌이 취급은 받아 봤어도 이런 경우는 처음이었다.”고 했다.

이 부장은 애초 많은 사람들에게 박 사장 사례를 알리길 원했다. “장애인들을 후원하고 싶으면서도 방법을 몰라 못 돕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마음만 먹으면 쉽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싶었다.”고 했다. 그러나 박 사장이 알리지 말아 달라고 부탁했다. 박 사장은 21일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사람들에게 알려지는 걸 원하지 않았다. 앞으로도 꾸준히 도울 생각이다.”라고 짧게 말했다.

박창규기자 nada@seoul.co.kr
2010-05-22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