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보다 무서운 우울증

암보다 무서운 우울증

입력 2010-06-03 00:00
업데이트 2010-06-03 0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들어 급증하는 자살은 우리 사회의 어떤 병리성을 말하는 것일까. 경찰청 집계 결과, 지난해 국내에서는 1만 4000여명이 자살했다. 하루 평균 38명꼴이며, 2008년에 비해 18%가 넘게 증가했다.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사회가 급속하게 개인주의적 경향을 보이는데다 전통적인 대가족문화가 해체되면서 오는 이해와 소통의 단절이 자살로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한다. 여기에다 갈수록 심각해지는 양극화의 폐해도 자살을 부추기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미지 확대
2일 경찰청이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살 사망자는 모두 1만 4579명이었다. 2008년의 1만 2270명에 비해 무려 18.8%가 늘어났다. 자살자 수는 2005년 1만 4011명에서 2006년 1만 2968명, 2007년 1만 3407명, 2008년 1만 2270명이던 것이 한 순간 훌쩍 1만 4000명대로 뛰었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이 4614명으로 전체의 31.6%를 차지했다. 20세 이하도 452명(3%)이나 됐다. 특히 20대는 2006년 1100 여명이던 것이 3년 만에 35%나 급증했다.

전문가들은 여기에 우리 사회의 자살 병리성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고 진단한다. 특히 고령 자살자와 20대 자살자가 많다는 것은 경제적 문제 외에도 전통적인 가족문화 해체에 따른 소외와 소통 및 의지처 부재, 이로 인한 우울증 등 정신질환 발현율 증가를 반영한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이번 통계에서는 자살 원인으로 우울증 등 정신적 문제가 가장 많은 28.2%(4123명)로 집계됐다. 표면적으로는 ‘질병으로 인한 자살’(3190명·21.8%)이나 ‘취업난 등 경제문제로 인한 자살’(2357명·16.1%)로 구분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자살 배경에 우울증이 작용했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주장한다.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김경란 교수는 “의료계에서는 자살의 80%가 우울증과 관련이 있다고 본다.”면서 “주변 환경이나 처지가 우울증 발현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감안하면 개인주의적인 사회 변화상이나 가족제도의 변화, 경제적 양극화 등이 모두 자살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실태에도 불구하고 국가 차원의 자살예방책은 허술하기 짝이 없다. 정부는 2013년까지 인구 10만명 당 자살자를 20명 미만으로 낮추는 ‘2차 자살예방종합대책’을 2008년에 내놨지만 예산이 책정되지 않아 정실질환 예방 및 조기발견, 재발방지책은 시도조차 못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강창일(민주) 의원 등이 국회에 제출한 자살예방 법안은 2년째 상임위에서 표류하고 있다. 사회가 자살을 권하고 있는 셈이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0-06-0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