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립지연 문제 해결됐다”

“기립지연 문제 해결됐다”

입력 2010-06-08 00:00
업데이트 2010-06-08 1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경주 나로우주센터장 “리허설도 문제없어”

 민경주 나로우주센터장은 8일 나로호(KSLV-I) 기립 작업이 지연된 것과 관련, “전날 나로호가 발사대로 이송되고 발사대 케이블마스트와 연결한 뒤 생겼던 전기적 신호 불안정 현상은 해소됐다”고 말했다.

 민 센터장은 2차 발사를 하루 앞둔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가진 브리핑에서 전날 나로호 기립 과정에 문제가 있었는데 충분히 해결됐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이같이 말했다.

 민 센터장은 또 “오늘 나로호 발사대 이송과 기립이 정상적으로 이뤄졌음을 확인하고 리허설을 진행했다”며 “리허설(모의연습)은 순조로웠으며 발사 예정일과 예정시간도 지켜질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민 센터장과의 일문일답 요지.

 --오늘 나로호에 대한 리허설 결과는.

 ▲전날 1단과 2단이 조립된 나로호 발사체가 발사대로 이송한 뒤 발사대의 정보를 지상에서 알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를 케이블마스트와 연결했는데 약간 불안정한 현상이 발견됐었다. 재점검을 했는데 현상이 없어지지 않아서 공학적 절차를 따라 모든 조치를 취했고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

 --전기신호가 불안정했던 이유는.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때도 커넥터의 접촉 불량 등이 있을 수 있지 않나. 1단 발사체와 케이블마스트를 연결했는데 불안정해 일단 분리했다. 육안으로 확인하고 나서 케이블마스터 쪽의 커넥터를 또 확인했다. 전기적인 신호를 다 체크하고 그 뒤에 클리닝 작업을 했다. 재결합해서 전기적인 시험을 완료했다.

 --전날 문제가 있었는데 오늘 리허설에서 어려움 없었나.

 ▲모든 것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

 --기립이 어려울 것이라고 한지 몇분 뒤 기립이 시작됐는데.

 ▲현장 기술자들이 전기적인 신호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자꾸 불안정하게 나오니까 힘들겠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면서 누워 있는 발사체를 세운 뒤 점검해 보자고 했다. 커넥터가 상단에 있는데 연결하는 핀 수가 수천개다. 수천개를 하나하나 다 확인해야 하니 시간이 걸리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면 누운 상태에서는 문제 해결이 안됐는가.

 ▲눕혀 있는 상황에서도 문제 없었다는 이야기다. 수평상태에서 점검했고, 공학적으로 점검한 뒤 발사체를 세워서 점검한 것이다.

 --이번 오류는 러시아 측이 제작한 부분에서 나온 것인가.

 ▲아시다시피 1단은 러시아가 관여하는 부분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